[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영입하면서 '비례대표 2번과 대선 때까지의 당권을 보장하는 조건을 제시한, 당시 과정이 드러나 파문이 예상된다.
김 대표는 20일 자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문 전 대표가 김 대표를 삼고초려할 때 비례대표 2번으로 모시고 싶다고 했고, 대선까지 당을 이끌어 달라고 했느냐’는 질문에 "실제로 나하고 그렇게 얘기했다"고 답변했다.
이는 사실상 문재인 전 대표의 대권을 위해 김 대표가 대선 때까지 당권을 맡기로 양측의 밀약이 있었다는 뜻이어서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 대표는 “내가 대표를 맡을지 생각한 바 없다. 비대위로 20대 원 구성과 전대 준비작업을 해야 한다. 그 다음 사항은 내 몫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계속 대표를 맡는 것이 문 전 대표와의 합의 정신에 맞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나에 관한 일이기 때문에 이제 앞으로 내가 가고 싶은 길을 가는 것이지 누가 뭐라고 해서 동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김 대표는 당 대표로 추천할만한 인사에 대해선 "내가 누구라고 말할 수 없다. 얘기하고 싶지 않다"고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호남 완패와 관련, ‘문재인 책임론’이 나오는 것에 대해선 “당 전체가 져야 한다”면서도 “특정인들(국민의당)이 특정인(문재인)을 상대로 반감을 고취시켰으니 호남 민심이 지금 같은 결과로 이어졌다”며 그 책임을 국민의당에 떠넘겼다.
그는 ‘국민의당을 과소평가하는 느낌’이라는 지적에 38석을 얻었으니 나름 크게 성공한 것”이라면서도 “안철수 대표가 당선되면 그 당이 지속하지만, 낙선되면 당이 존치할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여권의 후보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그렇게 되는 순간 국민의당은 없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선거 당시 당의 지원요청을 거절했던 손학규 전 고문에 대해서는 "사람이 위험도 감내하고 결단력이 있어야 한다. 그런 용기가 없으면 절대로 힘들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한편 더민주 내부에서는 총선을 승리로 이끈 공을 인정해 김 대표를 새 대표로 합의추대하자는 주장과 이를 반대하는 차기 당 대표 주자들의 반발이 공존하는 모습이다.
더민주 차기 당대표 주자로는 정세균·추미애·박영선·정청래 의원을 비롯해 김부겸·송영길·김진표·김두관 당선자 등이 후보군을 형성돼 있다. 당헌상 ‘대선 1년 전(오는 12월) 당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당권·대권 분리 규정 때문에 이들 중 일부는 출마가 불가능하지만 당헌·당규에 따라 누구라도 출마 의사를 밝히면 당 대표 경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 대표는 이와 같은 당내 합의추대 반대 목소리에 대해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그런 얘기를 하는 것 자체가 불쾌하고 나는 내 갈 길을 갈 테니 쓸데없는 말을 말라”고 불쾌감을 표출했다.
김 대표의 핵심 측근은 “지난 1월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했을 때도 문 전 대표가 전권을 줄 테니 당을 살려주고 대선까지 죽 도와달라고 했다”며 “(총선 후) 전당대회를 해서 당 대표를 다시 뽑는다는 의미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문 전 대표 측이 태도를 바꾸고 있다는 불만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문 전 대표는 합의추대론에 대해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당 일각에선 문 전 대표 측이 김 대표를 전대에서 지원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이번 총선에서 ‘친문(親文) 인사’는 범친노까지 합하면 당선자 123명 중 과반인 70여 명에 달한다.
김 대표는 20일 자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문 전 대표가 김 대표를 삼고초려할 때 비례대표 2번으로 모시고 싶다고 했고, 대선까지 당을 이끌어 달라고 했느냐’는 질문에 "실제로 나하고 그렇게 얘기했다"고 답변했다.
이는 사실상 문재인 전 대표의 대권을 위해 김 대표가 대선 때까지 당권을 맡기로 양측의 밀약이 있었다는 뜻이어서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 대표는 “내가 대표를 맡을지 생각한 바 없다. 비대위로 20대 원 구성과 전대 준비작업을 해야 한다. 그 다음 사항은 내 몫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계속 대표를 맡는 것이 문 전 대표와의 합의 정신에 맞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나에 관한 일이기 때문에 이제 앞으로 내가 가고 싶은 길을 가는 것이지 누가 뭐라고 해서 동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김 대표는 당 대표로 추천할만한 인사에 대해선 "내가 누구라고 말할 수 없다. 얘기하고 싶지 않다"고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호남 완패와 관련, ‘문재인 책임론’이 나오는 것에 대해선 “당 전체가 져야 한다”면서도 “특정인들(국민의당)이 특정인(문재인)을 상대로 반감을 고취시켰으니 호남 민심이 지금 같은 결과로 이어졌다”며 그 책임을 국민의당에 떠넘겼다.
그는 ‘국민의당을 과소평가하는 느낌’이라는 지적에 38석을 얻었으니 나름 크게 성공한 것”이라면서도 “안철수 대표가 당선되면 그 당이 지속하지만, 낙선되면 당이 존치할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여권의 후보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그렇게 되는 순간 국민의당은 없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선거 당시 당의 지원요청을 거절했던 손학규 전 고문에 대해서는 "사람이 위험도 감내하고 결단력이 있어야 한다. 그런 용기가 없으면 절대로 힘들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한편 더민주 내부에서는 총선을 승리로 이끈 공을 인정해 김 대표를 새 대표로 합의추대하자는 주장과 이를 반대하는 차기 당 대표 주자들의 반발이 공존하는 모습이다.
더민주 차기 당대표 주자로는 정세균·추미애·박영선·정청래 의원을 비롯해 김부겸·송영길·김진표·김두관 당선자 등이 후보군을 형성돼 있다. 당헌상 ‘대선 1년 전(오는 12월) 당직을 사퇴해야 한다’는 당권·대권 분리 규정 때문에 이들 중 일부는 출마가 불가능하지만 당헌·당규에 따라 누구라도 출마 의사를 밝히면 당 대표 경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 대표는 이와 같은 당내 합의추대 반대 목소리에 대해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그런 얘기를 하는 것 자체가 불쾌하고 나는 내 갈 길을 갈 테니 쓸데없는 말을 말라”고 불쾌감을 표출했다.
김 대표의 핵심 측근은 “지난 1월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했을 때도 문 전 대표가 전권을 줄 테니 당을 살려주고 대선까지 죽 도와달라고 했다”며 “(총선 후) 전당대회를 해서 당 대표를 다시 뽑는다는 의미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문 전 대표 측이 태도를 바꾸고 있다는 불만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문 전 대표는 합의추대론에 대해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당 일각에선 문 전 대표 측이 김 대표를 전대에서 지원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이번 총선에서 ‘친문(親文) 인사’는 범친노까지 합하면 당선자 123명 중 과반인 70여 명에 달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