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중구의회,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 강력 촉구

"영종국제도시 항공정비産團 조성을"
"'항공기정비업 제외' 단서 폐기를··· 공항경제권 시급"

문찬식 기자

mcs@siminilbo.co.kr | 2021-02-04 15:21:26

▲ '영종국제도시에 항공정비(MRO)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관련법 개정'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중구의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 중구의회)

 

[인천=문찬식 기자] 인천 중구의회가 최근 본회의장에서 ‘영종국제도시에 항공정비(MRO)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관련법 개정’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중구의원들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하영제 국회의원 등이 발의한 '인천국제공항공사법 일부개정안'은 지역이기주의에 편승한 구태정치"라며,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업무 영역에서 항공기정비업(MRO)을 제외한다는 명시적 단서 조항을 담고 있는 해당 개정 법률안을 폐기할 것을 요구하며 영종국제도시 항공정비(MRO)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관련법 개정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의원들은 "항공정비(MRO) 산업은 항공기의 이동이 자유롭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대형공항 지역이나 그 인근에 입지해 발달하는 산업"이라며 "인천국제공항은 하루 평균 1100여대의 항공기가 이·착륙할 만큼 세계 85개의 항공사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연간 7000만 명의 이용승객을 자랑하는 동북아의 명실상부한 허브공항이자 대한민국의 중추공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에서 10년 넘게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은 추가 이동이나 시간 제약 없이 항공기의 정비소요 시간과 비용을 가장 경제적·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곳"이라며 "아울러, 인력수급, 근로자 정주여건, 항공 정비부품 수송을 위한 육해공 물류 여건을 고려할 때 항공정비(MRO) 산업의 최적지임에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지역균형이라는 편협한 시각에 갇혀 모든 면에서 최고의 항공교통거점으로 평가받는 인천국제공항을 외면한 채 수백km나 떨어져 있는 경남 사천으로 분산시키려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정책이며 항공안전을 위협하는 잘못된 결정이 될 수 있다"며 "실제로 인천국제공항은 항공안전을 담보하는 정비인프라가 부족해 비정상 운항건수가 지난 5년간 5000여건에 달하고 있으며 지연·결항률도 연평균 10%씩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원-포트(One-Port)정책에 따라 중국, 일본 등과의 동북아 허브공항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에 항공정비(MRO) 산업을 조성하는 등 공항경제권을 시급히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영종국제도시 항공정비(MRO)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관련법 개정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