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 행정사무감사(도시균형재생국) 북항재개발 집중 포문
1단계 전면 수정 및 랜드마크 개발 시민의견수렴·절차 투명성 요구, 2단계사업은 청년 일자리 창출 메카로
최성일 기자
look7780@siminilbo.co.kr | 2020-11-15 14:06:16
[부산=최성일 기자]
▲ 부산시의회해양교통위원회의원들사진 북항재개발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이 이루어졌다. 13일(금), 도시균형재생국을 대상으로 한 부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해양교통위원회(위원장 : 이 현) 의원들은 북항재개발 1단계 문제점의 수정·보완과 2단계 사업의 방향성 설정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하고 대책을 요구했다.
먼저, 이산하 의원은 “북항재개발 연계 원도심 재생 용역을 미룰 것”을 주문하였다. “기존 산복도로 르네상스 등 원도심 재생사업 평가과 시즌2 방향성 설정에 관해 내년 3월까지 BDI에서 용역이 진행 중이고, 2단계사업에 대해서도 현재 각계각층 전문가를 비롯하여 시민들의 제안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라 이를 가능한 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박흥식 의원은 “2단계사업 컨소시엄에 부산시가 참여했다고 해서 부산시 의도대로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민자가 전체의 94.57%를 차지하는데 어떻게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 우려를 표명했다. 그리고 “2단계사업의 구성원이 다양해 지구단위계획 수립과 같은 구체적인 절차에 들어가면 갈등구조가 표출될 수 있다며 참여지분이 거의 없는 부산시가 어떻게 사업을 주도해나갈 것인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면서 “2단계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생활숙박시설이 도입되지 못하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통해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동일 의원은 “수도권 쏠림을 막고 청년 유출문제를 북항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미래먹거리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 조성 후 기업을 유치하는 기존방식보다는 앵커시설(기업)을 먼저 유치하고 필요한 산업환경을 조성해주는 방식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기업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북항 2단계사업이 인접해 있는 문현금융단지의 규모를 보완하여 국제적인 금융중심도시로 성장해 나가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