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확진자 감소세··· 내달 더 줄어들 것"
"2주 연속 9%·15% 감소"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21-06-21 14:46:44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21일 오전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7명으로 300명대 중반까지 내려옴에 따라 정부는 확진자가 감소하는 경향을 띄는 것으로 보고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2주 연속으로 전주 대비 9%, 15%씩 평균 확진자 수가 줄었다”며 “이 정도는 (확진자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해석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손 반장은 “주말 검사 건수가 줄어 환자 수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예방 접종 효과와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은 오는 7월 중에 확진자가 더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손 반장은 “시뮬레이션 모형에서는 7월 중순 이후 확진자 규모가 감소한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최근에는 2주 연속 규모가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 예방접종이 일종의 원인으로 작용했으리라 생각한다”며 “당초 모형보다 접종이 조금 빠르게 전개됐던 부분, 야외 활동에 적합한 날씨가 많아지면서 실외 활동이 증가한 점 등도 중요한 ‘어드밴티지’ 요인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긍정적 결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하면서 향후 확진자 발생 추이를 계속 지켜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방역당국은 내달부터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가 시작되면 ‘일상 속 방역 협조가 필수’라고 당부했다.
손 반장은 “적정 수준의 방역 긴장감을 유지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고 정부 역시 고심하는 대목”이라며 “그간 미뤄왔거나 하지 않던 회식, 모임 등 음주를 동반한 모임이 (7월 이후) 많아지는 부분은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거리두기 개편에서는 자율과 책임이 상당히 중요한데 방역수칙이 잘 지켜지지 않을 경우 거리두기 상향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또 수도권 유행 상황과 관련, 윤 반장은 “다른 지역에 비해 수도권은 인구 밀집도가 워낙 높아 확진자가 급속히 감호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7월 중에는 1단계 수준으로 진입했으면 하는데 (그렇게 되기까지)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그는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원칙에 따라 (위반에 대한) 행정 집행이 같이 이뤄진다는 점도 계속 이야기할 예정”이라며 “지속 가능한 방역이 되기 위해서는 국민 개개인이 기본 방역수칙을 잘 이행하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최근 영국 등지에서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인도 유래 변이 바이러스(델타형)와 관련해 향후 해외 상황,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방역 대응을 검토할 예정이다.
윤 반장은 해외 입국자의 격리 면제를 허용하지 않는 ‘변이 유행국’ 명단에 여전히 인도 등이 빠져 있다는 지적에 “접종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아직 미지수라 조금 더 지켜보자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영국에서도 인도 변이가 확산하고 있어 질병관리청에서 전반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국내에서는 음성 확인서를 요구하고, 격리 면제 기간에도 검사하게 돼 있어 안전장치는 돼 있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