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확진자 지속 감소땐 거리두기 완화 검토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1-01-18 15:03:58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정부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안정적으로 감소할 경우 2주 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완화를 검토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현 추세가 유지돼서 환자가 안정적으로 줄기를 희망한다"며 "그렇게 되면 2주 뒤 거리두기 단계 조정이나 방역수칙을 완화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389명으로 이번 3차 대유행 초기 단계인 2020년 11월25일(382명) 이후 54일 만에 300명대로 떨어졌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오늘과 같은 300∼400명대는 주말 영향이 상당히 높은 수치이기 때문에 계속 추이를 봐야 한다"면서 "현재 겨울철이고 변이 바이러스 (유입) 가능성도 있는 등 위험요인이 상당해서 거리두기 조치는 오는 31일까지 이어질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주, 다음 주 (상황을) 봐야겠으나, 기본 조치는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오후 9시까지로 제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오는 31일까지 연장했지만, 대구·경주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독자적으로 오후 11시까지 영업을 허용하기로 했다가 다시 철회하면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손 반장은 이와 관련해 "집합금지 조항이나 거리두기 세부 내용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면서 "방역완화 조치에 대해선 중수본도, 총리실도 사전에 듣지 못했고 다른 지방자치단체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해 문제가 제기됐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지난 1년간 중앙-지방정부가 서로 협의하고 소통하면서 공동대응체계를 잘 유지해 왔다"면서 "이는 매일 아침 중앙부처와 각 지자체가 모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하면서 충분히 소통한 것이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외국에서 높이 평가하는 드라이브스루, 워크스루 검사기법이나 3차 유행을 꺾는 데 도움이 된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는 지방정부가 먼저 아이디어를 내고 실행해서 전국에 확대한 조치"라며 "앞으로도 중앙-지방정부가 충분히 협의·소통하면서 합의 내용을 (실행에) 옮기는 체계를 가동하기 위해 애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부터 대다수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은 재개됐지만, 유흥주점과 헌팅포차를 비롯한 유흥업소 5종에 대한 집합금지 조치는 유지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