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부대 집단감염' 감사 착수··· 함정내 유입 경로 추적 조사도

국방부 감사관실 10명 투입
승조원 무단 이탈 의혹 검증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1-07-22 15:12:04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국방부는 22일 전체 부대원의 90%가 코로나19에 확진된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에 대한 감사에 착수했다.

국방부 관계자에 따르면 감사관실은 22일~오는 8월6일 10명을 투입해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제기된 각종 의혹을 규명하고 각 기관이 적절하게 대응했는지 따져보기 위한 감사를 진행한다.

감사 대상은 청해부대에 대한 작전지휘와 부대 관리 책임을 맡는 합동참모본부와 해군 작전사령부, 해군본부, 국군의무사령부, 국방부 관련 부서 등이다.

감사 기간은 오는 8월6일까지지만, 필요시 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투입 인원 또한 늘릴 수 있다.

국방부 감사관실은 우선 각 대상 기관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뒤 현장 감사에 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에 대해서는 격리 중인 점을 고려해 일단 비대면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떻게 함정으로 유입됐는지에 대한 조사도 이뤄질 전망이다.

34진 문무대왕함은 지난 6월28일~7월1일 3박4일간 군수품 적재를 위해 아프리카 해역 인접국에 기항했는데, 당시 철저히 현지인과 접촉을 차단하는 등 현재까지 특별히 문제점이 발견되진 않았다.

일각에선 기항 기간 일부 승조원이 함정을 무단 이탈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감염경로와 관련해 함정 현장 조사가 제한되는 상황"이라며 "방역당국의 역학조사와 별개로 부대원 진술 등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입 경로도 추적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파병 준비 등 계획 단계부터 실제 파병 이후 부대 운영과 방역 지침 이행, 상황 발생 시 합참과 국방부, 의무사 등 관련 기관의 초기 대응 등을 전반적으로 들여다본다.

국방부는 이를 통해 정치권과 언론 등에서 제기한 전반적인 의혹을 규명한다는 계획이다.

감사 결과에 따라 문제가 드러난 기관이나 담당자에 대해서는 징계 등의 문책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제기된 각종 의혹과 관련해 정확한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게 제1 목적"이라며 "합참이나 국방부, 의무사 등이 관련 매뉴얼대로 조처를 했는지도 따져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당 기관이 매뉴얼대로 조처를 했더라도 그 결과가 객관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관련 지침에 미흡한 점이 있는지도 살펴보고 제도개선을 권고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