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 '검사만 치료감호 청구 가능' 법 조항 합헌··· 法 직권으로 불가능" 결론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1-02-02 15:31:00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법원이 검사의 청구가 있을 때만 치료감호를 명령할 수 있게 한 법 조항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합헌 결정을 내렸다.
헌재는 법원이 직권으로 치료감호를 명령할 수 없도록 한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 조항이 적법절차 원칙을 위반한다는 내용의 위헌법률심판에서 재판관 7(합헌) 대 2(각하) 의견으로 합헌 결정을 내렸다고 2일 밝혔다.
치료감호는 범죄자의 심신 장애가 인정될 때 치료감호시설에 수용해 치료를 위한 조치를 하도록 하는 처분이다.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 4조 1항과 7항은 치료감호는 검사가 법원에 청구할 수 있고 법원은 검사에게 치료감호 청구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울서부지법은 2019년 살인미수 사건을 심리하던 중 피고인에게 알코올 장애 관련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검사에게 치료감호 청구를 요구했다.
하지만 검사가 이에 응하지 않자 2019년 9월 직권으로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했다.
헌재는 "치료감호는 본질적으로 자유를 박탈하는 침익적 처분이다. 법원으로부터 직권으로 치료감호를 선고받을 수 있는 권리는 헌법상 재판청구권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법은 청구·판단 주체를 분리해 치료감호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이선애·이은애 재판관은 소수의견에서 "치료감호 관련 검사와 법원의 권한을 규정한 이 조항이 위헌이라고 해도 위헌법률심판 제청 사유가 된 살인미수 사건의 재판이 달라진다고 보기 어렵다"며 각하 의견을 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