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산행 산악사고 예방과 행동요령
전남 영광소방서 영광119안전센터 최석규
시민일보
siminilbo@siminilbo.co.kr | 2021-09-23 16:57:44
이에 따라 산악사고가 빈번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견돼 가을철 산악사고 예방과 행동요령 등을 알리고자 한다.
산악사고의 특성상 도보로 이동하는 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환자가 장시간 위험에 노출돼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산행, 사고 예방을 위해 철저한 계획을 세워 산행을 해야 한다.
가을 산행은 날씨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9월이라 할지라도 바람막이 옷 등의 보온의류 준비해야 하고 추분이 지나면 낮의 길이가 급격히 짧아지기 때문에 일찍 출발하고 일찍 하산하는 산행계획을 세워야 하며, 낙엽이 쌓이면 길을 잃기 쉬움으로 지도를 지참, 해가 짧아지는 시기이므로 반드시 랜턴을 준비해야 하며, 다음 사항을 준수해 안전한 산행을 해야 한다.
첫 번째 등산로 여건을 미리 생각하여 통신장비, 비상식량, 여벌의 옷 등 기본 등산 장비를 휴대하고 출발한다.
두 번째 음주나 단독 산행을 삼가고 등산 중 기상 악화 시에는 인근 대피소 등 안전한 장소로 즉시 대피한다.
세 번째 지정된 안전한 등산로를 이용하고 계곡, 폭포 등 위험한 곳은 피한다.
일곱 번째 폭우 등 기상 특보 발효 시에는 등산을 하지 않는다.
여덟 번째 안전사고, 산불 등 각종 위급상황 발생 시 119로 즉시 신고한다.
열 번쨰낙석을 조심하고 등산로에 있는 나뭇가지를 잡는 행위는 위험하다.
열한 번째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는 등산 계획을 세우고 무모한 산행을 금지한다.
열두 번째 산에 오르기 전 등산로를 확인하고 산악안내 표지판 위치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산행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준다.
철저한 준비에도 산악사고는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산악사고가 발생한다면 먼저 구조를 요청한 후 구조 대원들이 오기 전까지 침착한 응급처치를 한다.
또 구조요청을 할 때에는 정확한 장소, 부상자의 상태, 무슨 일이 생겼는지, 신고자의 이름, 연락처, 응급처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등산로에 설치된 등산로 위치 표지판 번호나 스마트폰 앱 등을 이용해 사고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면 더욱 빨리 구조 대원들이 찾아갈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악사고 예방과 행동요령을 잘 이해하시고 위의 사항을 잘 준수하시면 우리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현명한 산행이 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