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8.28 전대 앞두고 전대룰 개정...당내 갈등 불가피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2-06-28 12:04:47

안규백 "지도부 선출 시 국민여론조사 비중 등 조절할 생각"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8·28 전당대회를 앞두고 준비위원장을 맡은 안규백 의원이 28일 '대의원 비율은 낮추고 권리당원은 늘리는 식'의 '룰(rule)' 변경 등을 시사하면서 당내 갈등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안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장 1년 전만 해도 권리당원이 70만명이었는데 지금은 122만명을 넘어섰다”며 “(당 지도부 선출 투표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일반당원, 국민여론조사 비중을 균형있게 조절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급격히 늘어난 권리당원 비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도 "대의원 제도는 역사성이나 취지를 고려할 때 전면적인 조정은 어렵다”고 말했다.


안 의원의 이 같은 발언은 현행 민주당 당규상 당대표와 최고위원 등 지도부 선출 시 투표 비중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10%, 일반당원 5%로 반영하게 돼 있는 기존 룰에 대해 반발하는 당내 여론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표의 등가성 문제를 들어 대의원보다 권리당원 반영 비중을 높여야 한다거나 일반 국민 반영 비중을 최대 50%까지 높여 ‘당심’보다는 ‘민심’을 중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안 의원은 “민주사회에서 정당은 국민의 것이지만 정당을 발전시키는 주체는 당원”이라며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의 의사를 따르는 것이 민주주의와 정당정치의 기본 원칙”이라고 강조, 권리당원의 반영 비율을 높이겠다는 의중을 드러냈다.


다만 "권리당원이라는 게 우리 당의 근간을 이룬 분들인데 당의 중대한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권리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맞느냐를 정체성이나 당의 가치에 적합한지 논의하고 있다"며 “이 부분이 쉬운 부분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현행 당규상 권리당원은 전당대회로부터 최소 6개월 전에 입당하고 6회 이상 당비를 납부해야 투표권을 받을 수 있다. 친이재명계 일부 의원 등은 당비 납부 기준을 6회에서 3회로 낮추자고 주장한다. 대선 이후 이재명 민주당 의원을 지지하며 대거 입당한 권리당원들을 포섭하려는 구상의 일환이다.


당 지도부 구성 방식을 현행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유지할지 ‘통합형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할지도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의 주요 논의 사안이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해 당대표의 힘이 강해지는 반면,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함께 투표해 1등이 당대표를 맡는 통합형 집단지도체제에선 최고위원의 권한이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안 의원은 이에 대해서도 “단일성 집단지도체제가 장점이 많지만, 현행 제도 아래서 최고위원들이 명칭이나 지휘에 비해서 영향력이 작다”며 “순수 집단체제가 적합한지 단일 집단체제가 적합한지는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그런데 전준위 내에서는 (의견이) 단일성 집단체제가 약간 더 우세한 것 같다”며 현 체제 변경 가능성을 시사했다.


‘결선룰을 확정하는 시기와 관련해 “분과위원회에서 확정된 것마다 발표를 하고 (다음달) 11일이나 12일 정도 전체 (룰 결정)를 마칠 생각”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