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편안 놓고 대립
국힘 “미래 세대에 재정 부담 떠넘기는 무책임한 안”
민주 “노후소득 보장이라는 국가 책임 이행하는 방안”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4-04-30 12:54:32
국민의힘은 미래 세대에 재정 부담을 떠넘기는 무책임한 방안이라고 비판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노후소득 보장이라는 국가 책임을 이행하는 안이라며 옹호하고 나선 것.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은 이날 "이 안에 따르면 지금 태어난 친구들은 40살이 되면 본인 소득의 43%를 (보험료로)내야 한다"며 "지금 태어난 아가에게 '너 40살 됐을 때 소득의 43% 낼래'라고 물으면 싫다고 하지 않겠나. 10세 이하 국민의 의견이 고려되지 않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왜 소득대체율 50% 안은 소득보장안이고, 소득대체율 40%는 재정안정안이라는 표현을 쓰나"라고 반문하며 "재정안정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다는 느낌이고, 소득보장은 개인의 입장이 고려된다는 느낌이어서 네이밍이 한쪽에 쏠려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미애 의원도 "미래세대와 국가의 재정안정 관점에서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구조개혁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설문이 이뤄진 것 같지 않다. 이를 논외로 하니까 대부분의 부담을 미래세대로 떠넘기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민주당 이용우 의원은 "숙의 과정에서 참여 초기보다 소득보장안에 대한 의견이 높아졌다"며 "국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에 대해 명확해졌다는 것이 큰 의미"라고 지지했다.
같은 당 정태호 의원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제공된 자료로 학습하고 토론을 통해 최종 결과가 나온 것"이라며 "최종 결과에 대해 정부가 존중하는 입장을 보여 주는 것이 맞다"고 가세했다.
앞서 공론화위가 500인 시민대표단을 대상으로 소득보장안(소득대체율 50%ㆍ보험료율 13%)과 재정안정안(소득대체율 40%ㆍ보험료율 12%)을 두고 공론조사를 벌인 결과, 시민대표단 56.0%는 소득보장안을, 42.6%는 재정안정안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기준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42%(2028년까지 40%로 하향 예정), 보험료율은 9%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