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정부가 인증··· 이력관리제 도입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 생산~폐기 전주기 관리
2027년까지 시스템 구축... 화재 등 원인 신속분석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25-02-16 13:00:17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정부가 잇따른 전기차 화재 대책으로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를 도입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 '전기차 화재안전 관리대책'을 발표하고 그해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시범사업을 추진 한데 이어 세부 절차 등을 마련해 17일부터 이력 관리제를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사전에 시험·인증하는 제도다. 2003년 차량 제작사가 스스로 안전성을 인증하고 정부가 사후 검증하는 방식(자기 인증제)을 시행한 지 22년 만에 제도가 전면적으로 변경된 것이다.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개별 배터리를 제작할 때부터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도록 하는 제도다.

식별번호는 생산 연월을 포함한 24자리 이하의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배터리가 두 개 이상이면 각 번호를 모두 기재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의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는 등 배터리 안전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배터리 교환 시에도 교환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변경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추적 관리할 계획이다.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변경된 식별번호가 연계 등록되도록 해 차량 소유주의 불편은 최소활 예정이다.

국토부는 오는 2027년까지 배터리 이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전기차 보급 확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배터리 안전성 확보는 국민 안전은 물론 자동차 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