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강수 마포구청장, “쓰레기소각장 입지 선정 불공정··· 반드시 철회돼야”

"1000톤 감량땐 설치 불필요"
포천시 전처리시설 이용 폐기물 감량 실증 추진

박준우

pjw1268@siminilbo.co.kr | 2022-10-11 14:02:54

[시민일보 = 박준우 기자] 박강수 서울 마포구청장은 11일 오후 2시 마포구청 광장에서 서울시 광역자원회수시설과 입지 선정과 관련해 "생활쓰레기 소각만이 답이 아니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에서 하루 동안 배출되는 쓰레기는 3200톤이며, 이 중 2200톤을 4개 소각장(마포·강남·노원·양천)에서 처리 중이지만 2026년부터 종량제 봉투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시는 10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시의 계획에 대해 박 구청장은 “1000톤의 쓰레기를 감량한다면 소각장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처리 시설(종량제봉투 분쇄 및 선별 과정을 통해 재활용할 수 있는 금속, 플라스틱 등을 분리시켜 최종 소각 폐기물을 감량하는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활폐기물 전처리 과정을 통해 약 70%에 이르는 생활폐기물이 저감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시 각 자치구에 전처리시설을 설치하면 소각장 추가 건립이 불필요하다는 것이 박 구청장의 생각이다.

아울러 구는 가까운 시일에 경기도 포천시에 소재한 전처리 시설을 이용해 마포구에서 배출된 종량제 생활폐기물이 얼마나 감량되는지를 실증할 예정이다.

또한 박 구청장은 "감량된 소각폐기물도 현 스토커 방식이 아닌 유해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 ‘고온 용융(고체를 고열로 녹여 액체로 만든 것) 방식’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온 용융 방식은 최후의 쓰레기 처리기술이라고도 불리며 최대 2000도의 고온으로 처리되는 과정에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까지 완전 연소되는 친환경 소각방식으로 쓰레기를 태워 나온 잔재물조차도 무해한 쓰레기로 도로공사 골재로 사용되는 자원이 될 수 있으니 쓰레기를 태워 매립할 재조차 나오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박 구청장은 “불공정, 부당함으로 점철된 서울시의 마포구 입지 선정은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서울시는 무조건 소각장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주장만 펼칠 것이 아니라 마포구가 제시한 것과 같은 쓰레기 처리방식에 대한 대안을 적극 검토해 무엇이 마포구민과 서울시민을 위한 방법인지 숙고하길 바란다” 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