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 연기론-영수회담 비선 논란 등으로 ‘한동훈 등판'에 힘 실리나
韓, 정치행보 재개했지만...대권-당권 분리 여부로 향후 일정 정할 듯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4-05-09 13:50:32
특히 4.29 영수회담 후유증으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당심이 흔들리고 있는 기류가 한 전 위원장 등판에 호재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영수회담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윤 대통령이 비선라인을 통해 이재명 대표에게 '총리 추천'을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 등에는 윤 대통령을 겨냥해 '진짜 보수 궤멸자', '지금 탈당하라' 등의 격앙된 반응이 줄을 잇는 형국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9일 “윤 대통령에 실망한 당원들이 총선 당시 갈등 국면을 드러내며 윤 대통령과 대척점에 섰던 한 위원장 쪽으로 몰리는 중"이라며 "이로 인해 한 전 위원장의 잠행 기한이 줄어들게 됐다"고 평가했다.
실제 한 전 위원장도 공개 행보를 이어가며 접촉면을 넓히는 모습이다.
다만 당권 도전에 대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어 당권-대권 분리 조항을 고려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국민의힘 당헌에는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자는 상임고문을 제외한 모든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통령선거일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해당 규정을 적용하면 오는 7~8월 선출될 새 당대표는 차기 대선(2027년 3월3일) 출마를 결심할 경우 임기 2년을 다 채우지 못한 채 2026년 9월에 사퇴해야 한다.
그는 “이번 당 대표는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책임질 사람을 뽑는 선거”라며 “대선 경선 출마 예정자는 당권ㆍ대권 분리 당헌상 2025년 9월8일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당 대표 선거에 출마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광역단체장 출마 예정자도 2026년 6월 지방선거 전에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지방선거를 책임져야 할 당 대표로서는 부적절하다”며 “대선, 지선에 출마하지 않고 오로지 대야전선 투쟁과 당 혁신, 지방선거에만 올인할 사람을 뽑는 것이 이번 당 대표 선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잘 살펴보시라. 그런 당 대표에 헌신할 분이 누가 있는지”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군에는 5선에 오른 권성동ㆍ권영세ㆍ나경원ㆍ윤상현 의원, 4선의 김태호ㆍ안철수 의원과 원외의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 중 2년 후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출마를 고려하거나 차기 대선 출마를 의중에 두고 있다면 당 대표가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