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올해 장애인 친화사업에 770억 쏟는다

50개 세부사업 시행··· 전국 최초 정책 다수
장애인 친화 미용실·전동보장구 보험 가입등 추진

홍덕표

hongdp@siminilbo.co.kr | 2022-01-12 15:44:38

▲ 영축산 전동보장구 충전기 이용 모습. (사진제공=노원구청)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서울 노원구(구청장 오승록)가 올해 전국 최초로 장애인 친화 미용실을 설치·운영하고 장애인 전동보장구 보험에 가입하는 등 '장애인 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시행한다.


구는 올해 약 770억원을 투입해 '장애인과 가족 모두가 행복한 장애인 친화도시'를 목표로, 3대 정책과제별 50개 세부사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전국 최초로 시도되는 정책, 시범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확대 추진되는 정책 등이 다수 포함돼 장애인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어 낼 전망이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전국 최초의 '장애인 친화 미용실' 설치다.

구는 지난해 12월 전국 최초로 '장애인 친화 이·미용시설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제정하고 올해 7월 운영에 나선다.

기존 미용실에는 장애인에게 필요한 장비나 편의시설이 없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 미용사를 만나기 어려워 방문이 꺼려졌던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에 따라 미용실에는 장애인에게 맞는 편의시설을 갖추고, 장애인식이 높은 전문 인력이 상주한다.

이와 함께 올해 2월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사업으로 '장애인 전동보장구 보험' 가입을 서울시 자치구 최초로 실시한다.

구에 주소지를 둔 등록장애인이 전동휠체어나 전동스쿠터 같은 전동보장구 운행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 구가 보험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부담한다.

또한 장애인이동기기 수리비 지원 한도를 대폭 상향하기로 했다.

주요 이동수단인 전동보장구 수리비를 저소득 장애인의 경우 연간 15만원에서 30만원으로, 일반장애인은 10만원에서 15만원으로 지원 금액을 확대한다.

수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도 저소득 장애인은 15만원, 일반장애인은 10만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다.

아울러 구는 ‘장애인 실종예방 사업’ 대상을 현행 지적·자폐·정신 장애인에서 구 등록 장애인 전체로 확대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실종 위험이 있는 등록 장애인 전체를 대상으로 배회감지기 지원 사업을 시행해 장애인 실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계획이다.

장애인 실종예방 사업은 사전 조사를 거쳐 올해 9월 이후 시행을 앞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설치와 시각장애인 현장해설 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먼저, 올해 상반기에는 구청사 1층에 수어영상, 음성정보, 디지털 점자와 촉지를 갖춘 디지털 안내기기 키오스크를 설치해 시·청각 장애인에게 청사 시설안내와 생활정보 등 다양한 정보와 이용 편의를 제공한다.

또 구 공공기관 주관행사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현장 해설사를 배치해 시각장애인의 사회참여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오승록 구청장은 "장애인과 그 가족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매년 장애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 사업을 통해 장애인과 함께 더불어 사는 따뜻한 건강복지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