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특검' 재의결 저지 ‘표 단속’에 나선 與

추경호 “모든 의원 전화나 개별 면담 통해 접촉”
김재원 “무기명 투표, 낙선자 표 단속 쉽지 않아”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4-05-22 14:12:43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안'(채상병 특검법)이 국회에서 재의결되지 않도록 표 단속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진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윤재옥 전 원내대표와 제가 모든 의원님을 전화나 개별 면담을 통해 접촉하고 있다"라며 표 단속에 나섰다는 입장을 밝혔다.


추 원내대표는 "중진 의원들도 각자 그런 부분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활동하고 뜻을 모아주겠다는 말씀을 주셨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채상병 특검법에 반대하는 것은 당론"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추 원내대표는 오는 28일로 예상되는 본회의 개최 여부에 대해서는 "28일 본회의 의사일정에 대해 합의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민주당 단독 요구에 의해 소집하고 의장이 강행하지 않을까 하는 점을 상정해두고 가정하면서 여러 활동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안철수ㆍ김웅ㆍ유의동 의원이 공개적으로 채상병 특검법 찬성 입장을 밝힌 데 대해서는 "유 의원이 전날 방송을 통해 그런 의사를 표명했다. 정확한 의사를 직접 듣지는 못했다"며 "저를 포함한 여러 의원이 대화를 나누면서 본인의 진정한 뜻이 무엇인지 확인도 하고 여러 대화를 나눌 예정"이라고 했다.


찬성하면 당 차원의 징계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그런 식의 말씀을 드릴 단계는 아니다"라고 거리를 뒀다.


야당 일각에서 채상병 특검법과 관련해 여당 의원들을 접촉하고 있다고 공표하는 데 대해서는 "상호 대화는 늘 열려있다"라면서도 "자꾸 상대 당의 균열, 갈등을 유발하는 발언은 서로 삼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 김재원 전 최고위원은 여당 의원들 표 단속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회의원만큼 속을 알 수 없는 사람들이 없고 특히 낙선 또는 공천을 받지 못한 의원들이 당 방침에 순응할지 의문이라는 것.


김 전 최고는 이날 YTN 라디오에서 특검법 재표결시 찬성 의사를 밝힌 국민의힘 의원은 안철수ㆍ유의동ㆍ김웅 등 3명 뿐이지만 "표 단속은 쉽지 않으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에 떨어진 분들이 50명가량 되는데 이분들에게 한 자리씩 약속한다면 표 단속이 될지 모르겠지만 무기명 비밀투표여서 누가 어디에 찍었는지 알 수가 없다"면서 "국회의원만큼 겉 다르고 속다르게 택할 수 있는 사람도 드물다"고 했다.


이어 "국민의힘과는 달리 더불어민주당은 특수 집단으로 똘똘 뭉쳐서 윤석열 대통령을 반대하는 그 전선에는 동참할 것"이라며 "박용진 의원, 설훈 의원 이런 분들도 찬성하리라고 보지만 국민의힘은 확실하게 단결하지 않는 한 어렵다"고 거듭 표 단속이 쉽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또는 여당 지도부가 의원들을 잘 설득하는 것이 유일한 길"이라고 했다.


대통령이 부울경 초선 의원들과 만찬을 하면서 '당의 호위무사가 되겠다'고 언급한 점에 대해 김 전 최고는 "당선인들은 지금 투표권이 없다"며 "차라리 대통령이 총선에서 탈락한 분들을 많이 불러서 '여러분들을 위해서 내가 뭐든지 다 하겠다'고 하는 것이 투표에 도움이 될 텐데"라며 "급한 불부터 끄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거부권 행사로 국회에 돌아온 법안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3분의2 이상이 찬성하면 그 즉시 법률로 확정되고 부결되면 폐기된다. 21대 국회 현재 의석상 전원 출석시 여권에서 17표의 이탈표가 나오면 대통령의 거부권이 무력화될 수 있다.


채상병 특검법은 지난 2023년 7월 실종자 수색 작전 중 숨진 해병대 채 모 상병의 사건 초동 수사와 경찰 이첩 과정에 대통령실, 국방부가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특검을 도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검 수사 상황에 따라 윤 대통령까지 수사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