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 지도부, 이상민 설훈 조응천 등 가결표 의원 징계 움직임에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3-10-04 14:13:17

추미애 가세 "무도한 검찰 폭력 정권과 손잡고 통합 말할 자격 없어"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강성 지지자들인 이른바 개딸들이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에 가결표를 던진 30명 안팎의 의원들을 퇴출해야 한다고 압력을 넣고 있는 가운데 친명계 당 지도부는 '분당', '가결표를 던졌다' 등의 발언을 해당 행위로 규정하면서 사실상 이상민, 설훈, 조응천 의원 등을 겨냥해 징계하는 쪽으로 분위기를 몰아가고 있다.


박찬대 최고위원은 4일 “가결 전후로 꾸준히 민주당을 흔들어대고 지도부와 당 대표를 내려오게끔 구체적 행동한 분들은 해당 행위”라며 “공공연하게 ‘탄핵했다’고 표현하거나, 가결 선언을 하거나, ‘칭찬받아야 한다’는 부적절한 발언이 이어지고, 당내 분란을 일으키는 행위에 대해서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한 박 최고위원은 “(체포동의안) 가결이냐 아니냐가 결정적 사건이기는 하지만 (징계를 요구하는) 당원들 청원이 올라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가결표를 던진 의원) 수를 넉넉히 잡아도 40명"라며 “(전체 민주당 의원) 170명 중 4분의 1도 안되는 분들이 당권을 흔드는 것은 민주적 원리에 맞지 않고 검찰과 국민의힘의 표에 손을 얹은 행동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교훈으로 삼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단지 가결 여부 때문에 (징계를) 판단하기보다는 오랫동안 지속되고 누적돼 있었고, 영장이 기각되고 난 이후에도 맞지 않는 궤변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지 않냐”며 “‘그런 부분에 대해 분명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징계 판단을 누가 하느냐'는 질문에는 “내부적으로 사실 고민이 많이 있었다”며 “당원들이 5만명 이상 청원했던 부분에 대해 바로 대응을 해야 한다. 아무래도 윤리심판원을 거치는 절차가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고 말했다.


‘징계 이후 민주당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에 대해서는 “징계 우선주의라든가 징계 제일주의는 분명히 아니지만, 그 과정에서 통합을 지향하면서 꼭 필요한 조치는 병행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특히 정청래 최고위원은 "고름은 살이 안 된다", "외상값을 치러야 할 때" 등으로 비명계를 겨냥해 공세를 폈다.


그는 지난 2일 페이스북을 통해 “만약 구속영장이 가결되었다면? 이재명 대표 사퇴하라고 즉각 주장했을 것"이라며 체포동의안 표결, 영장 기각 이후 체포동의안 가결파들의 처신을 압박한 데 이어 전날에도 “퉁치고~합? 퉁합과 통합은 다르다” “사람 쉽게 안 변한다. 고름은 살이 되지 않는다. 좋은 게 좋은 게 아니다” 등의 글을 올리며 기존의 주장을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도 "스스로 용퇴를 하는 게 맞다”며 가세하고 나서 눈길을 끌었다.


이날 BBS라디오에 출연한 추 전 장관은 “1% 미만으로 정권을 놓치고 민생이나 수출이 무너지고 안보, 외교, 평화, 역사가 다 무너져 내리는데 그냥 야당 국회의원만 하면 일신이 편하면 그만이냐”며 “그분들이 국민에게 낯 들고 추석에 다닐 수 있었는지 그 염치부터 우선 묻고 싶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특히 “(국회는) 적어도 국정을 돌보는 헌법기관”이라며 “헌법과 법률을 짓밟고 있는 무도한 검찰 폭력 정권과 손잡고선 당내 통합을 운운할 자격조차 없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스스로 (찬성투표를) 밝힌 분들에 대해서는 징계 절차가 들어가야 한다”며 “그분들이 공천을 갖고서 또는 체포동의안 표결을 갖고서 당대표를 겁박했다면 이런 콩가루당은 있을 수가 없는 것이므로 당내 규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