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구, 국민정책디자인단과 범죄최소화 방안 모색

'대학가에 안전마을'··· 눈높이 정책 만든다
1인가구 현황등 빅데이터 활용해 사각지대 선제 발굴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22-07-26 16:43:01

▲ 주민, 공무원, 전문가 등이 협업해 정책을 만들어가는 국민정책디자인단이 동대문구청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동대문구청)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서울 동대문구(구청장 이필형)가 ‘국민정책디자인단’과 함께 ‘대학가 1인 가구 대상 안전마을 환경개선 사업’을 추진 중이다.


26일 구에 따르면, 국민정책디자인단은 정책수요자인 ‘주민’과 정책담당자인 ‘공무원’, ‘전문가’ 및 ‘서비스디자이너’가 정책결정 전반에 참여해 국민이 필요로 하는 공공서비스를 개발해 나가는 ‘국민참여형’ 정책 모델로, 동대문구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안전한 마을을 조성하기 위해 4월부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동대문경찰서에서 실시한 ‘5대 범죄 및 112신고 핫스팟’ 분석 결과, 대학가 원룸 밀집지역이 범죄 발생 우범지역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내 대학교 주변 주택가 원룸 등 여성 1인 가구가 밀집돼 있는 지역을 주민과 협력해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국민정책디자인단 과제로 선정했다.

국민정책디자인단은 동대문경찰서 및 지역 소재 대학(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과 협업해 사업을 추진하고 지역주민 특히 청년, 여성, 대학생 등 안전 수요자 계층의 눈높이에서 문제점을 발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5월에 처음 진행된 회의에서 지역내 대학(서울시립대, 경희대, 한국외대)에 재학 중인 청년들이 대거 합류해 대학가 근처에서 평소 느끼는 안전문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도출했다.

6월에 열린 두 번째 회의에서는 가상인물(대학가 원룸촌 거주 여대생)을 통해 수요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 여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퍼소나 기법’을 활용해 불편사항, 범죄발생 가능성, 이슈 및 잠재적 니즈(needs)를 심층적으로 발굴했다.


아울러 이달 초에는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회기동·이문동·휘경동 등 대학가 1인 가구 밀집지역에 설치돼 있는 범죄예방시설물(방범용CCTV, LED비상벨, 그림자조명, 여성안심택배함 등)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을 함께 논의했다.

지난 22일 열린 회의에서는 ‘동대문구 1인 가구 빅데이터 분석 사업 용역’ 결과를 통해 도출한 총 12종(1인 가구 현황, 범죄데이터, 여성안심귀갓길, 비상안전벨 위치, CCTV 현황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내 안전 취약지역 현황을 확인하고 해당지역의 안전 확보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이번 회의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범죄취약지역을 객관적 지표로 분석하고 민원이 발생하기 전 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범죄예방시설물을 설치하고 다양한 안전 확보 방안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구는 9월까지 국민정책디자인단의 최종 결과를 종합해 환경 개선 과제를 이행할 계획이다.

신용 기획예산과장은 “범죄 없는 안전한 대학가 주거환경을 위해 주민, 전문가, 공무원, 서비스디자이너가 협력해 나가고 있다. 특히 국민정책디자인단은 과제명 선정부터 정책추진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며 정책 수혜자의 시각으로써 사업을 이끌어가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안전관련 사고가 발생하고 난 후의 ‘사후약방문’식 행정이 아닌 선제적 대응으로 안전한 대학가 환경조성을 하고, 주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생활밀착형 정책을 추진하는 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