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李 체포동의안 부결 후 사퇴 촉구 잇따라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3-03-06 14:46:08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까스로 부결된 이후 당이 내홍에 휩싸이자 당내에서 이 대표의 사퇴와 결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민주당 이상민 의원은 6일 이대명 대표에게 "잠시 뒤로 물러서는 것이 당을 위해서나 이 대표를 위해서나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비이재명계(비명계)' 소신파인 이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민주당 검은 먹구름의 일차적인 원인은 이 대표의 사법적 의혹이다. 그러면 이걸 철저히 분리해야 하는데 당 대표직을 유지하면서 하긴 쉽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 대표도 사법적 의혹에 정면으로 집중해서 대응해야 하지 않겠나. 그래서 무고함을 밝혀야 되는 것"이라며 "무고함을 밝히게 되면 정말 날개를 단 격이 되겠다. 그걸 저도 바란다. 이 대표가 잠시 뒤로 물러서는 것이 당을 위해서나, 이 대표를 위해서나 표적을 피할 수 있으니까 그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 대표 입장에선 당 대표에서 물러나면 본인을 둘러싸고 있는 보호막이 없어지니 사법리스크에 대응하기 쉽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 아닌가'라는 진행자 질문에 "이 대표를 보호하는 건 민주당에 자기를 지지하는 국회의원이나 당원이 아닌 민심"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사법적 의혹이기 때문에 이 무고함을 밝히려면 증거와 법리로서 대응을 해야 된다. 정치적 구호로 맨날 해 봤자 무슨 힘이 있나"라고 반문했다.
같은 당 김종민 의원도 "몇 사람이 당 대표 물러나라 한다고 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도 "이 대표의 민생 행보가 안 먹히면 당 대표를 물러나겠다고 말할 수도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당 대표에 당선됐으면 방탄 정당 공격을 넘어설 수 있는 대안과 전략을 제시하고 그 리더십을 발휘할 책임이 있다"며 "(민생 행보는) 안 먹힌다. 어떻게 할 건지를 당원과 의원들에게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법리스크 현실화 우려에) 당 대표를 나오지 말라고 그랬는데 (이 대표가) 나와서 당선이 됐다"며 "이재명의 민주당으로 가야 윤석열을 이길 수 있다고 본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사퇴) 문제에 대해서는 이게 정답이라고 하나로 정해 놓을 필요는 없다"면서도 "지도부가 적어도 방탄정당이나 이재명 사당화 비판에 대해서 이건 현실이 아니다 이렇게만 얘기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당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책임 있게 고민하고 소통하고 제시해야 그런 책임이 있다"며 이재명 지도부가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박지현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지금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 필요한 것은 사즉생의 결단"이라며 이 대표의 결단을 촉구했다. 다만 이 대표의 결단 촉구가 이 대표의 사퇴 요구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박 전 위원장과 민주당 청년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세월 국민을 위해 싸워왔던 민주당이 지금은 누구를 위해 싸우고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이 대표가 두려워할 대상은 검찰이 아니라 국민이어야 한다. 그래서 '이재명의 민주당'이 아니라 '민주당의 이재명'이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가 지난 8개월간 보여준 모습은 국민을 위한 정당의 대표도, 당원을 위한 정당의 대표도 아니었다"며 "이 대표는 당선된 이후 국민께 했던 약속들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국민의 삶도, 정치 개혁도, 정당개혁도 그 어느 것 하나 약속대로 실천하지 않았고 당은 계속 분열되기만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그 결과가 무엇이냐. (이 대표 체포동의안의) 압도적 부결을 예상했지만 찬성표가 한 표 더 많았다"며 "강성팬덤의 위세에 눌려 앞에서 반대하고 뒤에서 찬성하는 의원들이 많다는 것이 증명됐다. 당내 민주주의가 철저히 망가진 민주당의 비참한 모습"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 대표가 결단하라.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다만 박 전 위원장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의 결단 촉구가 사퇴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