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2차 변경(안)」 국토부 최종 승인!
도시철도망 구축 대상노선으로 10개 노선(92.75㎞) 확정… 오륙도 연장선, 오시리아선, 1·2호선 급행화 노선 등 4개 노선 신규 추가, 기존 7개 노선은 병합 등으로 6개 노선으로 조정
박형준 부산시장, “시민의 일상이 편리한‘그린 스마트 도시’를 구현할 수 있도록 도시철도 인프라 조기 확충에 역량 집중할 것”
최성일 기자
look7780@siminilbo.co.kr | 2022-01-19 17:03:24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난 18일「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2차 변경(안)」이 국토교통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계획은 ‘제1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17.6.) 후 그간 변화된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해 타당성을 재분석한 현실적인 계획으로, ▲대중교통망 확충을 통한 도시철도 서비스 제고 ▲지역 간 균형발전 도모 ▲광역철도와의 네트워크 기능 강화 등 도시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강화하고 편리한 도시철도망을 구현하기 위해 수립됐다.
국토부의 변경계획 승인에 따라, 10개 노선(92.75㎞ 신규 4개, 기존 6개)이 도시철도망 구축 대상노선으로 확정됐다. 4개 노선이 신규로 추가 반영됐고, 기존 7개 노선(83.0Km)은 일부 노선을 하나의 노선으로 병합해 6개 노선으로 조정됐다.
구체적으로, 신규노선은 ▲도시철도 이용 편의 제공을 위해 오륙도 트램 실증노선(1.9Km)에서 오륙도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오륙도 연장선’(3.25Km)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교통혼잡 해소를 위해 2호선(장산역)을 연장하는 ‘오시리아선’(4.13Km) ▲도시철도 이용 효율 극대화를 위한 도시철도 ‘1·2호선 급행화’ 노선 등 4개 노선이 추가됐다.
기존노선에서는 ▲도시철도(1호선)와 동해선의 네트워크 효과 증대와 경제성 확보를 위해 신정선과 정관선이 ‘노포~정관선’으로 병합됐고 ▲원도심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 ‘C-Bay∼Park선’은 용두산공원·광복동·부평동 구간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연장됐다. 그리고 ▲‘송도선’은 C-Bay∼Park선과 연계 및 사하경찰서 경유를 위해 노선이 변경되는 등 도시철도 간 연결성 강화와 이용 편의를 위해 기존노선 일부 구간이 조정·변경됐다. 이외 기존노선인 하단녹산선, 기장선, 강서선은 당초 계획대로 유지됐다.
이번 변경계획에 반영된 대상노선이 모두 건설되는 2036년에는 도시철도 수단분담률이 기존 11.04%에서 14.08%로 3.04%P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더욱 편리한 도시철도 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0분 이내 도시철도역으로 접근 가능한 행정동이 128곳에서 152곳으로 늘어 평균 접근시간이 기존 9.06분에서 7.25분으로 1.81분 단축되고, 도시철도 역세권 인구도 기존 82.8%에서 88.0%로 5.8%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도시철도 접근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변경계획에 따라 대상노선이 모두 건설되면 도시철도 8개 노선(158Km, 건설 중 노선 포함)이 18개 노선(251Km)으로 2배 이상 확충돼, 획기적인 도시철도 중심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촘촘한 도시철도망 구축을 통해 도시철도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간 접근성 향상과 함께 시민의 일상이 행복한 ‘그린 스마트 도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인프라 조기 확충에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향후, 부산시는「도시철도법」에 따라 10년 단위 계획인 「제2차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 수립을 위해 2024년부터 도시철도망 재정비 용역을 시행할 예정이다.
□ 노선별 세부계획
ㅇ 운영중인 도시철도 : 5개노선, 138.5Km, 135개역
연번
선 별
구 간
거 리
역사(수)
차 량
비고(개통)
1
1호선
노포~다대포
39.9㎞
40개역
중형전철
(‘85~’17)
2
2호선
양산~장산
45.2㎞
43개역
중형전철
(‘91~’12)
3
3호선
수영~대저
18.1㎞
17개역
중형전철
(‘05)
4
4호선
미남~안평
12.0㎞
14개역
경전철
(‘11)
5
부산김해 경전철
사상~김해 삼계동
23.3㎞
21개역
경전철
(‘11)
ㅇ 추진중인 도시철도 : 3개노선, 20.2Km, 19개역
연번
선 별
구 간
거 리
역사(수)
차 량
비고(개통예정)
1
사상하단선
사상~하단
6.9㎞
7개역
경전철
‘23
2
양산선
노포~양산 북정
11.4㎞
7개역
경전철
‘23
3
오륙도 실증노선
경성·부경대~이기대
1.9㎞
5개역
트램
‘24
ㅇ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2차) : 10개노선, 92.75Km, 116개역
연번
선 별
구 간
거 리
역사(수)
차 량
비고
1
하단녹산선
하단~녹산
14.4㎞
12개역
경전철
기존
2
C-Bay~Park선
부평~시민공원
12.08㎞
24개역
트램
기존
3
노포정관선
노포~좌천
22.97㎞
22개역
트램
기존
4
강서선
명지주거단지~대저
21.1㎞
24개역
트램
기존
5
오륙도선 연장선
이기대~해맞이공원
3.25㎞
6개역
트램
신규
6
송도선
부평~장림
7.72㎞
13개역
트램
기존
7
기장선
안평~일광택지
7.1㎞
5개역
경전철
기존
8
1호선 급행화
노포~다대포
대피선
4개역
중형전철
신규
9
2호선 급행화
장산~양산
대피선
4개역
중형전철
신규
10
오시리아선
장산~동부산관광단지
4.13㎞
2개역
중형전철
신규
※ 투자우선순위에 따라 주변 개발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후 노선별 사업 추진 예정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