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지도부, 뜨거운 감자된 ‘60억 가상화폐 김남국’ 처리 놓고 고심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3-05-08 14:47:45

‘내로남불 문재인’ ‘대선자금 이재명’ 줄소환에 돈봉투 형평성 지적까지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이 ‘60억 가상화폐를 보유한’ 사실이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까지 싸잡혀 줄소환되는 모양새여서 주목된다.


국민의힘 강사빈 부대변인은 8일 “임기 동안 ‘소득주도성장’을 외치며 최저임금을 급격하게 올린 문 전 대통령이 퇴임 이후 만든 평산책방에서 무급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하고 있다”며 “이런 행태는 민주당의 ‘내로남불DNA’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강 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하루 8시간 일하고 (받는) 점심과 평산책방 굿즈가 과연 ‘제대로 노력한 대가냐. ‘열정페이’라는 이름으로 명백히 노동력을 착취하는 일”이라고 반발하면서 이같이 날을 세웠다.


특히 그는 ‘열정페이’라는 이름으로 청년 노동력을 착취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열정페이가 아닌, 제대로 노력한 것에 대한 대가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언급했던 문 전 대통령의 과거 발언을 소환해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된 대가 없이 노동을 강요하는 구시대적인 행태는 없어져야 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 역시 이번 지적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는 ’김 의원이 코인을 팔아 이 대표 대선자금에 보탠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도마 위에 올랐다.


실제 대선자금 관련설은 지난 5일 ’김의원이 지난해 1~2월, 당시 시세로 60억원 상당의 위믹스(WEMIX) 코인을 80만여 개 보유했다는 언론 보도에 이어 대선(3월 9일)과 암호 화폐 거래 실명제 시행(3월 25일)을 앞둔 지난해 2월 말~3월 초 전량 인출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불거졌다.


특히 각종 투자 관련 정보 접근에 우월한 지위를 가지고 있는 김남국 의원이 가상자산 과세 유예 법안 발의에 참여한 사실이 알려지고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김 의원의 거래 관련 기록을 넘겨받은 검찰이 본격 수사에 들어가면서 민주당 지도부도 당 차원의 공식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적극 방어에 나선 모습이다.


앞서 돈 봉투 전대 의혹에 어설프게 대응했다가 ‘이재명 대표 책임론’을 초래했던 쓴 경험과 특히 가상화폐에 관심이 많은 2030 세대의 분노를 우려한 당 차원의 선제 조치인 셈이다.


김민석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BBS라디오 방송에서 ”일단은 본인이 팩트에 대해 정리해 밝힌 이후 그에 입각해 (이해충돌) 위법성 여부를 판단해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김의원) 본인이 계좌를 공개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 여러 문제 제기에 답하는 과정을 통해 이해충돌에 해당하는가, 아닌가 하는 것들은 저희들이 객관적인 검토로 판단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구멍 난 운동화, 라면 관련한 김 의원의 과거 발언이 ‘궁핍 마케팅’, ‘서민 코스프레’ 비판에 직면한 가운데 당이 별도 조사에 나서겠다고 해 (돈 봉투 의혹과 달라)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는 진행자 지적에 ”돈 봉투는 관련 인물 리스트 버전도 워낙 많고 (관련자 중) 나는 전혀 아닌데 너무 황당하다, 이렇게 얘기하는 분도 있어서. 그것을 근거로 조사하기가 조금 성격이 다른 면이 있다“며 ”김남국 의원의 경우는 지금 딱 특정이 돼 있고 본인도 다 실명 거래했다 이렇게 (인정한)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위법성과 도덕성 여부를 비교적 간명하게 정리할 수 있는 게 아니겠냐“고 밝혔다.


특히 그는 ’진보 진영의 핵심 덕목이었던 도덕성이 연이어 민낯이 드러난다‘는 지적에 당 지도부로서 우려가 있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문제가 있으면 소명할 건 소명하고 엄하게 하나하나 대처하겠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의원은 “일각에서 (제가) 2022년 3월 25일 트레블 룰(코인 실명제) 시행 전 가상자산을 대거 인출해 현금화했고, 이것을 마치 대선자금으로 사용한 것처럼 터무니없는 말을 지어내고 있다"며 "황당무계한 소설을 아무 근거도 없이 쏟아내고 있다"고 반발했다.


김 의원은 전날 밤 페이스북을 통해 2022년 1월~3월 은행 ATM 출금 내역서를 공개하면서 "트레블 룰 시행 이전부터 거래소에서 실명화된 연계계좌만을 통해서만 거래할 수 있었고, 모든 거래는 제 명의의 계좌로만 거래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앞서 언론 통화에서는 “인출해서 현금화한 것은 440만 원뿐”이라며 “(다 날리고) 몇억 원밖에 안 남았다”고 말했다.


위믹스 인출 내역을 왜 직접 공개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가상화폐 지갑 주소가 노출되기 때문”이라며 “공개할 방법을 찾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6일에는 페이스북을 통해 “개인의 민감한 금융정보와 수사정보를 언론에 흘린 것은 윤석열 라인의 ‘한동훈 검찰’ 작품이라고 생각된다”며 “모든 것을 걸고 진실게임을 하자. 저는 제 정치 생명과 전 재산 모든 것을 다 걸겠다”고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한 장관은 입장문을 내고 “구체적 사안은 알지 못하나 누구도 김 의원에게 김치코인을 사라 한 적도, 금융당국에 적발되라 한 적도 없다”며 “근거 없이 국가기관을 폄훼하는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