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업종별로 업무 탄력성 줄 필요 있어”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23-03-08 14:53:32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정부의 주 52시간제 개편안과 관련해 8일 “업종별로 탄력성을 줄 필요가 있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방송사를 예로 들면 월드컵, 올림픽 등 중요한 행사가 있는데 제일 일 많이 하는 방송 관계되는 분들이 ‘나는 52시간 됐으니 중계하다가 쉬다 오겠다’고 하고 그만둘 수 없는 것 아닌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회사의 사장들이 왜 이 부분을 환영하는가. 사장들이 바로 처벌대상이기 때문”이라며 “현재 방송도, 변호사들도 비슷할 것이다. 엄밀하게 주 52시간을 지키고 있는가. 정확하게 하면 처벌받을 곳이 거의 다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개혁과 관련해서는 “한마디로 법치주의 개혁”이라며 “1987년 노동자 대투쟁 과정 이후 계속 노동자는 약자니까 법을 좀 어겨도 된다, 또 노동자들의 조합원 숫자가 300만인데 선거 때마다 몰표가 두려우니 노동조합에 대해서는 법에 나와 있는 것도 대체로 눈 감고 지나갔는데 지나치게 불법이 많아서 윤석열 대통령이 법치주의 개혁을 해서 바로잡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화물연대, 새총을 쏜다든지 다른 사람 운송을 거부하도록 강제한다든지, 또 건폭이라는 말까지 나왔는데 이런 과도한 부분, 그리고 노동조합이 국민의 혈세를 지원받고 어떻게 썼는지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는데 제대로 안 되는 사례가 많지 않은가”라며 “이런 것들을 바로잡는 게 윤석열 대통령의 법치주의 노동개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노조를 적으로 만든다’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서는 “법도 미비한 점도 있고 잘못된 것도 있으니 그런 점에서 노동자들과 폭넓은 대화, 그래서 노사정의 합의를 통해 개혁해야 하는 게 바로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하는 일”이라며 “법치주의는 대통령 혼자 힘으로도 과감하게 근로 감독하고, 경찰, 검찰 동원해서 하면 되지만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노동조합이 안 오면 개점휴업”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