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역 대상 감염병 '11개→20개 확대··· 해외유입 차단망 강화

질병관리청, 제1차 검역관리 기본계획 수립·발표
항만에도 'Q-CODE'··· 자동검역심사대 시범 도입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23-05-22 14:54:02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질병관리청이 22일 '제1차 검역관리 기본계획(2023∼2027년)'을 수립·발표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번에 발표된 기본계획에는 검역 대상 감염병을 두 배 가까이 늘리고, 공항만 감시와 격리를 강화하는 등 더 촘촘한 검역망 구축 내용이 담겨있다.

기본계획을 통해 정부는 검역하는 감염병 종류에 뎅기열, 크리미안 콩고출혈열, 홍역 등을 추가해 오는 2027년까지 11개에서 20여개로 차츰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 해외 확진자의 귀국을 위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공항만 격리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하수 검사를 통해 신속하게 감염병을 인지하고 대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2022년 3월 시범사업을 거쳐 정식으로 도입된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Q-CODE·큐코드)을 항만까지 확대하고, QR코드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증상 확인 후 개폐되는 '자동검역심사대'를 올해 하반기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국외에서 들어오는 항공기와 선박에 대한 검역도 강화한다. 항공기 입항 전 보건상태를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하고, 선박 위생조사에 검체 채취를 위한 장비를 도입한다.

이외에도 늘어난 업무를 수행할 검역관들을 양성할 전략도 포함됐다. 검역관 교육의 인원·기수·과정수를 확대하고, 역학조사와 외국어를 과정에 반영한다.

질병청은 장기적으로 사람·선박·항공기·화물 등 대상별 또는 기능별로 검역정책국 신설을 추진하고, 검역법에 국제협력 관련 조항을 마련하고, 각국 화물검역기관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최근 코로나19를 계기로 공중보건비상사태에 대비하고 자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검역정책에 대한 국제적 요구가 증가했다”며 “중국발 변이 대응 등 검역정책의 성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