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전기자전거·킥보드 재활용 사업 본격화
환경부, 환경공단 등과 협약
年 3400톤 자원회수 기대
박소진 기자
zini@siminilbo.co.kr | 2025-02-12 15:27:16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의 회수와 재활용을 늘리기 위해 전국에 수거 거점이 마련된다.
환경부는 12일 경기도 용인시 수도권자원순환센터에서 한국환경공단, 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이순환거버넌스)과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e-모빌리티)' 순환이용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인형 전동 이동장치는 현재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생산자에게 제품이나 포장재의 폐기물에 대해 일정량의 재활용의무를 부여하는 제도) 비대상 품목으로, 강화플라스틱 등이 다량 포함돼 있어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협약을 통해 한국전기이륜형자동차협회는 전국 200여개 회원사 판매대리점과 물류센터에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 수거 거점을 마련하고, 이순환거버넌스는 200여대의 폐전기전자제품 운반 차량을 활용해 무상 회수한 후 재활용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해당 재활용 실적을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 실적으로 인정하는 등 적극 지원한다.
환경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연간 전기자전거(25㎏ 기준) 약 14만대 분량을 재활용해 철, 알루미늄 등 유가자원 약 3천400t을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거 거점 위치 등 구체적인 배출 방법은 이순환거버넌스 홈페이지 알림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개인형 전동 이동장치 등 새로운 유형의 폐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확대하고,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대상을 전 품목으로 확대하는 등 법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