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동킥보드등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성 높인다

내년 1월 민·관 협의체 구성
이용 활성화 대책 마련키로

손우정

swj@siminilbo.co.kr | 2022-12-26 16:04:46

[의정부=손우정 기자]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의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관련 기관과 함께 안전이용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에 나선다.


도는 도와 경기도의회, 경기도교육청, 경기남ㆍ북부경찰청, 경기교통공사, 수원시정연구원, 한국PM산업협회, 도내 공유PM업체 등 민ㆍ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안전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도는 2023년 1월 중으로 이들 기관과 간담회를 열고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 이용에 관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종합대책 실행에 필요한 ‘민ㆍ관 합동 협의체’를 구성할 방침이다.

‘민ㆍ관 합동 협의체’는 경기도 등 관(官)의 제도적ㆍ재정적 지원 속에서 공유PM업체 등 민간부문이 ‘안전 이용 활성화’ 방안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이번 간담회는 이달 초 총 20억원(도비 50%ㆍ시군비 50%)을 투입한 개인형 이동장치 활성화 시범지구 3곳 및 전용 주차시설 227곳이 조성 완료되면서 후속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앞서 도는 2021년부터 시ㆍ군 공모 사업으로 시범지구 및 전용 주차시설 조성을 추진했다.


시범지구는 전철역 등 대중교통과 연계가 쉬운 지역에 자전거도로를 정비하고,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내용이다.

2021년 7월부터 올해 7월까지 조성된 시범지구 3곳은 수원(아주대ㆍ월드컵경기장 인근ㆍ1km), 성남(판교역 일원ㆍ0.6km), 하남(풍산역 일원ㆍ1.3km)이다.

이와 함께 올 12월까지 각각 수원(116개), 하남(8개), 안양(20개), 성남(57개), 양주(5개), 부천(6개), 시흥(15개)에도 개인형 이동장치 5~10개를 주차할 수 있는 부스ㆍ거치형 시설을 총 227개 마련했다.

도는 시범지구 및 주차시설을 운영하면서 체계적인 주ㆍ정차 관리, 도민 보행 불편사항 등을 파악해 추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