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먹튀 사기' 온라인 쇼핑사이트 주의보··· 3년간 31곳 적발

해외에 서버··· 추적 어려워

홍덕표

hongdp@siminilbo.co.kr | 2022-06-22 15:51:55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최근 해외에 서버를 두고 추적이나 차단을 피하는 사기 온라인쇼핑몰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먼저, 사기 행각을 벌이는 판매자는 할인을 미끼로 소비자에게 새로운 쇼핑몰 주소(링크)를 안내하며 거래를 유도한다.

이후 물건값을 입금할 때 할인에 필요하다며 입금자명에 이름과 복잡한 할인코드 또는 추천인 아이디를 입력하라고 요구한다.

이어 입금자명에 할인코드가 잘못 입력됐다며 재입금을 요구하고, 소비자가 다시 입금하면 기존 입금한 돈까지 모두 가로챈 뒤 잠적해버리는 방식이다.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는 지난 3년간 이러한 유형의 해외 서버 사기 사이트를 31개 적발했다.

이 가운데 13개(42%)는 올해 1∼5월 신고된 것으로, 지난 2년간 전체 적발 건수(18개)에 육박한다.

사기 사이트 대부분은 스마트폰이나 가전제품 등 고단가 상품을 취급해 피해액도 크다.

지난 5개월간 피해액은 무려 1억3200만원에 달하는데, 이는 2020년 1180만원, 2021년 834만원의 총액을 합친 것보다 5배 이상 많다.

특히 해외에 서버를 둔 사이트는 추적이 어려울 뿐 아니라 관련 법에 근거가 없어 즉각적으로 접속을 차단할 수도 없다.


지난 10년 동안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신고된 사기 사이트 총 154개 중 102개는 국내에 서버가 있어 폐쇄 조치가 완료됐으나 해외에 서버가 있는 52개 사이트는 폐쇄가 불가능했다.

10년간 피해 금액은 총 34억2874만원에 이른다.

또한 사기 수법도 진화하고 있다.

한글로 제품을 설명하고 고객센터도 국내번호인 '010' 또는 카카오톡으로 운영하며, 사이트 하단에는 도용한 사업자등록번호와 사업자주소 등을 표기해 놓는다.

이와 함께 접근 경로가 기존에는 오픈마켓에 한정됐다면 최근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번개장터, 중고나라 등 개인 간 거래 플랫폼까지 확대됐다.

아울러 사기 피해를 막으려면 소비자가 거래에 앞서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에서 해당 사이트의 사기 사이트 등록 여부를 확인하거나 공정거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사이트에 표기된 사업자등록번호를 조회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메인 등록 사이트에서 도메인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이병욱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은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국내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와의 협조 체계를 구축하고 법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