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봉투 살포‘ 의혹 핵심 피의자 송영길, 구속 기로에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3-12-18 16:01:36
송 전 대표는 18일 오전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했다.
포토라인에 선 송 전 대표는 “검찰 소환조사에서는 묵비권을 행사했지만, 법원에선 변호인과 잘 상의해서 겸손하고 성실하게 혐의를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캠프 관계자 회유 의혹’ 관련 질문을 받자 “검찰은 압수수색 권한으로 제 주변 100여명이 넘는 사람을 압수수색하고 그런 과정에서 사람이 죽기도 했다”며 “이런 강압적 수사를 하는 검찰에 맞서 피의자로서 정당한 방어권을 행사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자신의 (핸드폰)비밀번호를 안 가르쳐줬다”며 “핸드폰을 압수하려고 하는 정진웅 검사를 몸으로 저지하고 오히려 독직폭행으로 고소한 사람들이 한동훈 검찰 아니냐”고 반문했다.
외곽 후원조직 먹고사는문제연구소(먹사연)를 통한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에 대해서는 ”제가 받은 것이 아니라, 먹사연 공식 후원계좌로 들어온 금액이 공식적으로 투명하게 보고됐다“며 ”4월에 검찰이 압수수색에서 이미 다 가져간 자료로 돈봉투(살포 혐의)가 입증이 안되니 별건으로 수사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법원은 이날 검찰과 송 전 대표 양측의 입장을 청취한 뒤 이르면 이날 밤, 늦으면 다음날 새벽에 영장 발부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당사자인 송 전 대표 뿐만 아니라 검찰에게도 이번 구속심사는 의미가 각별하다.
지난 9월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으로 구겨진 체면을 만회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이기 때문이다.
'무리한 야당 탄압 정치 수사'라는 민주당의 맹공에도 검찰은 혐의 입증을 자신했고,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국회 연단에 서서 “불체포특권 포기 약속은 누가 억지로 시킨 것도 아니었다”며 이 대표를 구속 심사대로 밀어넣었다.
그러나 법원은 “방어권 보장이 필요해 보인다”며 이 대표 영장을 기각했으며 수사를 대변한 한동훈 장관은 야당 탄압에 일조했다는 책임론에 휩싸였다.
이 여세를 몰아 민주당은 한 장관 탄핵론을 본격적으로 띄우기 시작했고, 검사 탄핵안까지 통과시키며 검찰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검찰은 이 대표를 불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겼지만, 실제 유ㆍ무죄 확정 판결이 나오기까진 최소 2년 이상의 길고 지루한 법정 다툼이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송 전 대표 구속은 검찰이 체면을 살리고 현재 진행 중인 야권 비리 수사의 동력을 회복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영장이 기각되면 검찰 수사에 대한 불신 여론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민주당 내부 논의에 그쳤던 이원석 검찰총장 탄핵론이 본격화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심사 결과가 나오는 순간, 검찰과 송 전 대표 둘 중 한쪽은 반드시 치명타를 입게 되는 셈이다.
한편 송 전 대표는 전당대회 직전인 지난 2021년 4월 현역의원 약 20여명과 선거 관계인에게 총 9400만원을 살포한 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아울러 먹사연을 통해 불법 정치자금 7억6300만원을 받은 혐의도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