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 고구마 재배 현장 지도반 편성ㆍ운영

정찬남 기자

jcrso@siminilbo.co.kr | 2025-02-24 16:02:58

[해남=정찬남 기자] 전남 해남군이 대표 특산물인 고구마의 고품질 생산을 위해 현장 지도반을 편성해 육묘단계부터 철저한 관리에 나섰다.

군은 고구마 생산의 첫걸음인 씨고구마 파종 시기를 앞두고, 이달부터 4월까지를 중점 지도 기간을 설정하고 주요 토양전염성 병해충 예방 및 우량 종순 생산을 위한 농가 현장 지도와 함께 방제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고구마 육묘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양전염성 병해충은 묘상, 본포, 저장 과정까지 피해를 유발할 수 있어 초기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주요 병해로는 흰비단병, 더뎅이병, 덩이줄기썩음병 등이 있으며, 병 발생시 고구마 줄기가 검게 변색되거나 생육 불량, 시들음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덩이줄기썩음병은 일본 가고시마현과 미야자키현에서 발생해 큰 피해를 초래했으며, 해남에서도 피해 사례가 보고된 만큼 철저한 예방이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씨고구마 파종 전 토양 살균제 및 살선충제 처리와 함께 건강한 씨고구마 사용, 주기적인 묘상 점검이 필수적이다. 병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이병주를 제거하고 사용한 농기구를 철저히 소독해야 한다.

살균제는 헥사코나졸(쌀박사ㆍ헥사존ㆍ안빌), 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입제(스포르곤), 아족시스트로빈(오티바) 등이며, 살선충제는 포스티아제이트 입제(아오바ㆍ선충탄), 플루오피람 입제(벨룸) 등이 있다. 채묘시 소독은 70% 알코올, 1%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 등을 사용해야 한다.

군 관계자는 "씨고구마 파종 전후 관리와 건전한 육묘 환경 개선으로 병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농가를 대상으로 예방 교육 및 현장 지도, 병해충 방제 기술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