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산재 사망자 작년比 7.8% 증가
사고건수 136건... 138명 사망
5~49인 사업장선 소폭 줄어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24-05-29 16:41:27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1분기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지난해 1분기보다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지난 1월부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으로 추가된 근로자 5∼49인 사업장에선 전년 대비 사고 사망자가 줄었다.
올해 1∼3월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는 138명(잠정)으로, 작년 1분기 128명보다 10명(7.8%) 늘었다. 사망 사고 건수는 124건에서 136건으로 12건(9.7%)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사고 사망자가 64명으로 전년 대비 1명 줄고, 제조업은 31명으로 전년과 같았으며, 기타 업종에선 작년 1분기 32명에서 올해 43명으로 늘었다.
기타 업종의 경우 ‘건물종합관리,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9명) 등 상대적으로 안전보건 개선 역량이 부족한 일부 취약업종에 사고가 집중됐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규모별로는 상시 근로자 50인(건설업종은 공사금액 50억원) 미만 사업장에선 전년 대비 1명 줄어든 반면 50인 이상 대형 사업장과 대규모 공사 현장에선 작년 1분기보다 11명 늘었다.
50인 미만 중에서도 지난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확대 적용되면서 새로 법 테두리 안에 들어온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의 사고 사망자는 44명으로, 전년 대비 6명 줄었다.
정부는 다만 1분기 수치만으론 전년과 비교에 무리가 있고, 이미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던 50인 이상 사업장에선 사망자가 늘어난 점 등을 들어 중대재해처벌법의 영향 여부를 확신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노동부는 “향후 사망 사고가 감소세로 전환되도록 사고 다발 업종을 대상으로 집중 지도와 점검을 하고, 현장 안전보건 역량 제고를 위해 실효성 있는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