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내달부터 해상풍력 발전단지 입지여건 사전조사
산업부 공모사업에 선정
문찬식 기자
mcs@siminilbo.co.kr | 2022-05-26 17:02:12
[인천=문찬식 기자] 인천시가 해상풍력 발전단지로 적합한 입지를 조사한다.
시는 산업통상자원부 '2022~2023년도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사업(조사권역공모)'에 최종 선정돼 인천 해역 및 인근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대한 입지조사를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사업’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최적입지를 선제적으로 검증하고, 계획적 개발을 위해 공공 연구기관이 입지여건ㆍ개발환경 등을 사전에 조사하는 사업이다.
사업비는 총 68억원(전액 국비)으로 오는 6월부터 2023년 말까지 진행된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사업수행을 관리하고, 시와 옹진군은 인ㆍ허가 지원 및 지역수용성 확보 협업 역할로 참여한다. 기초 조사 수행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공공연구기관이 맡게 될 예정이다.
시는 옹진군 해역과 배타적 경제수역(EEZ) 일부 해역을 조사하는 것으로 공모 신청했으며, 지난 12일 산업부는 평가위원회를 개최해 24일 인천해역을 최종 조사대상으로 선정했다.
지역 주민과 어업인들은 다양한 의견과 함께 공공기관 주도로 어업활동 등 생업과 공존할 수 있고 환경성이 확보된 입지를 사전 조사해 상생할 수 있는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할 것 등을 요청했다.
시는 해상풍력 사업 추진이 미진한 주요 이유를 민간사업자와 지역 어업인들 간의 갈등인 것으로 진단했다. 현재 민간주도로 해상풍력 사업이 이뤄지면서 기업들은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점에 발전시설을 지으려고 하고, 그 지점이 어장과 겹치면서 어업인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어업인들과 상생할 수 있고 공공의 이익이 보장되는 입지 발굴을 검토해왔다.
시 관계자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의 소통이 필수적이고, 특히 지역 주민ㆍ어업인과의 충분한 공감대 형성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이해를 구한 후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 시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그간의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주요 관심 해역에 대한 풍황 정보, 어업활동 정보, 지역 피해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적정지역을 전반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