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총리와 이 시장 갈등설
편집국장 고 하 승
시민일보
| 2003-10-21 19:37:14
{ILINK:1} 한동안 고건 총리와 이명박 서울시장의 갈등설로 서울시가 시끄러웠다.
바로 지난 3월이었다. 당시 청와대 첫 국무회의에 ‘장관급 자치단체장’으로서 당연히 참석하는 게 관례이던 이명박 시장이 제외됐다. 물론 청와대와 행자부는 당시 각의에서 서울시 관련 의제가 없다는 이유로 이 시장을 배석자 명단에서 제외했다고 발표했으나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민은 별로 없었다.
고 총리와 이 시장의 갈등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동안 잠잠하던 갈등설이 또 제기됐다. 이번에는 원지동 추모공원과 관련해서다.
실제로 서울 서초구 원지동에 국가중앙의료원을 건립하고 의료단지내에 화장장을 설치하려는 서울시의 계획이 중앙부처의 반발로 틀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원지동 주민들과 2년여간의 밀고 당기는 협상 끝에 `국가중앙의료원 이전 후 단지내 화장장 설치’라는 절충안에 합의를 어렵게 이끌어냈다.
하지만 이게 쉽지 않게 생겼다는 말이다.
건설교통부, 보건복지부, 기획예산처 등 관련 부처들의 입장차로 난관에 부딪혔다.
문제는 그의 의지다. 그가 과연 국가중앙의료원 단지내에 화장장 설치하는 것을 수용할 수 있겠는가. 고 총리는 2001년 서울시장 재직 당시 화장장 건립 계획을 세우고 추진해온 당사자이다. 때문에 자신이 계획한 추모공원을 이명박 서울시장이 사실상 백지화하고, 대신 국가중앙의료원 단지내에 화장장 설치쪽으로 당초 계획을 수정한 것이 못마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오죽하면 원지동 주민들 사이에서 “화장장 설치에 대해 건교부 등이 제동을 거는 것은 고 총리의 의견이 반영된 것”이라는 볼멘 소리까지 흘러나오겠는가.
실제로 최종찬 건교부 장관은 “추모공원 건립의 시급성을 인정해 추모공원 부지에 대해 그린벨트를 해제했는데 이를 의료단지로 사용하는 것은 당초의 목적과 거리가 있으므로 수용하기 어렵다”며 서울시 방안에 대한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게다가 당초 서울시에 의료단지 설립을 사실상 요청했던 김화중 복지부장관 마저 “예비타당성 검토후 (국립의료원의) 이전 필요성이 있더라도 원지동 부지에 법적인 문제가 있다면 다른 이전 대상 지역을 모색해 볼수 있다”며 한발 뒤로 물러서고 말았다.
물론 필자는 이렇게 일이 진행되는 과정을 단지 우연일 뿐이라고 믿고 싶다. 행정에 감정을 개입시킨다는 것은 말도 안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구석이 너무나 많다.
혹여 총리와 서울시장의 갈등으로 인해 서울시민들만 피해를 보는 것이 아닌지 적잖이 염려스럽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