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언론개혁이다
이 영 란 정치행정부장
시민일보
| 2004-04-15 23:27:54
{ILINK:1} ‘열린우리당 압승’이라는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가 나오자 한 시민은 인터뷰를 통해 “이번 총선 결과는 언론이 국민 무서운 줄 알아야 한다는 경고의 의미도 함께 포함돼 있다”며 “이번에는 언론개혁 차례”라는 의견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일부 족벌 신문이 이번 결과에 딴지를 걸고 나설지 모르지만 앞으로 정부는 이같은 언론의 행태에 대해 ‘법대로 처리’로 제 역할을 해야 한다며 ‘언론개혁’을 주문하고 나선 시민의 지적은 일리가 있다.
실제로 진보정당의 원내 진입 현실화로 한국 정치판의 의미있는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팽배해 있는 이 시점에서 ‘언론개혁’ 필요성이 역설되는 이유는 뭘까?
언론개혁이 선결되지 않고는 정치개혁 일정이 결코 순탄하지 못하리라는 것은 물론 국가와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개혁은 감히 꿈도 꿀 수 없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사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진실들이 신문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는 특정 전국지의 왜곡된 시각으로 인해 뒤틀리고 호도됐는가.
그동안의 경험치 만으로도 많은 이들은 지금과 같은 구조로는 ‘정치개혁’이 이뤄질 수 없다는 사실을 너무나 잘 알게 된 것이다.
이번 총선에서 일부지역에서 지역구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도 순전히 ‘박정희 향수’를 자극해 온 특정 전국지의 ‘농간’이 작용했다는 사실을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다.
이들 특정 전국지는 투표 하는 날 놀러가라고 권유하는 기사를 서슴지 않는 것은 물론 진보정당을 향해서는 북한의 사주를 받은 ‘xxx’라고 선동하는 등 편향적인 기사를 노골적으로 써 왔다.
특정 전국지가 이같은 행태를 보이는 이유는 순전히 기득권을 유지하겠다는 데 있다.
기득권 유지를 위해서라면 어떤 일이라도 해 낼 것 같은 그들의 집착이 섬뜩할 정도다.
그렇다면 언론개혁을 위해 우선적으로 시도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그 답은 건전한 지방지 지원을 통해 육성하는 길이다.
지방지 지원은 특혜가 아니다. 단지 그동안 중앙집권체제하에서 누려왔던 전국지에 대한 특혜를 회수해서 그 일부를 지방지로 환원하는 것이다.
특히 이들 전국지들이 무가지와 경품을 앞세워 시장을 잠식하는 불법 역시 그대로 묵인해서는 안된다.
이런 전국지들의 횡포가, 부족한 가운데 희망의 싹을 틔우고 있는 시민일보와 같은 건전한 지방지들을 사지로 내몰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자치가 정착되면서 지방지 역할에 대한 독자 요구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을 체감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스스로의 몸체 키우기에 급급해 독자의 알권리는 안중에도 없는 특정 전국지보다는 지방지를 육성해야 하는 것이 시대적 요청이다.
그 길만이 우리사회 전반에 걸친 진정한 개혁을 이룰 수 있는 대안인 것이다.
이제는 언론개혁의 칼날을 뽑아야 할 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