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개혁 이제 시작이다
시민일보
| 2004-05-12 22:46:35
{ILINK:1} ‘신문시장의 정상화는 언론개혁의 첫걸음이다.’
이는 최근 민언련 등 언론관련 7개 단체가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강조한 말이다. 이들의 지적은 백번 옳다.
사실 특정 신문의 신문시장 독과점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론 왜곡현상은 재론의 여지가 없을 만큼 그 폐해가 매우 심각하다. 그런데도 누구하나 선뜻 언론개혁의 칼을 빼들지 못하고 있었던 게 현실이다.
조·중·동 등 소위 족벌 기득언론이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 ‘언론개혁’을 운운하는 것은 마치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와 같아서 매우 조심스러웠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엊그제 여당의 원내대표로 당선된 천정배 의원은 언론개혁을 서두르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또 문화관광부는 정간법을 미디어종합진흥법 체계로 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마당이다.
언론 주무부처인 문화부가 이처럼 정간법 개정에 대한 입법 방향을 검토하기로 함에 따라 정간법 개정 공약을 내세운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그리고 정간법 개정을 꾸준히 요구해온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언론개혁논의가 이뤄질 것은 자명해졌다.
특히 50년만에 이뤄진 진보정당의 원내진출 등 우호적인 환경변화로 인해 이제 본격적으로 언론개혁논의에 탄력이 붙을 것이다.
그동안 신문시장의 경쟁 게임의 룰이 시장바닥의 상인의 룰 보다 못했던 게 사실이다.
오죽하면 무가지, 경품 등 다른 업종에서는 없는 일로 공정위가 신문고시까지 만들어 통제하는 상황까지 왔겠는가. 참으로 답답한 노릇이다.
신문고시에서는 무가 기간을 2개월로 못박고 있지만 4~6개월, 심지어 1년까지 무가로 하기도 한다.
또 조선, 중앙은 가격할인을 통해 덤핑을 시도하기도 한다.
족벌언론의 이런 행태가 결국 신문업계를 몇 년 후퇴시켰다는 게 중론이다.
조·중·동의 월 절독률은 4%, 연 48% 수준이라고 한다. 매년 절반의 독자가 떨어져 나간다는 얘기다.
그런데도 그들은 꾸준히 독자들의 수준을 유지시켜나가고 있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 것일까. 그것은 막강한 재원을 바탕으로 은밀하게 경품을 나눠주는 수법을 동원, 독자들을 다시 충원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특히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지방지들이 독자적으로 생명력을 이어가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개혁을 열망하는 국민을 믿는다.
또 그 국민의 뜻을 받들고 언론개혁에 나설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을 믿는다.
물론 한나라당에서도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당선자들이 있을 것이기에 그들도 동참해 주리라 믿는다.
이런 믿음이 17대 국회에서 결실을 맺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다시 말하지만 언론개혁은 분초를 다투는 시급한 사안임을 정치권 모두가 인식해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