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청산
이 영 란 정치행정부장
시민일보
| 2004-07-25 20:43:11
독립투사의 후손으로 알려진 열린우리당 김희선 의원이 구설수로 한바탕 홍역을 치루고 있는 중이다.
이 일이 단순한 개인 구설에 국한된 것이라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김 의원이 지난 16대에 이어 현재까지 국회에서 친일진상규명법 제·개정을 주도해 왔던 인물이라는 점을 관련지어 볼 때 전개되는 상황이 그리 간단히 끝나게 될 것 같지는 않다.
솔직히 친일진상 규명을 두려워하는 무리를 중심으로 한 작전세력의 음모(?)가 개입된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다.
사건의 발단은 김 의원이 독립운동가 조상을 사칭했다는 내용의 글이 인터넷에 오르면서 부터다.
김 의원 가계에 대해 네티즌들이 제기하는 의문의 핵심은 광복군 제3지대장을 지냈고, 62년 건국훈장에 추서된 작은 할아버지 김학규 장군과의 관계다.
실제로 항의성 글이 폭주하고 있는 김 의원 홈페이지와 몇몇 사이트에 안동김씨로 알려진 김 장군과 의성김씨인 김 의원의 본관이 다른 점에 대한 의혹을 필두로 몇가지 의혹이 제기되면서 김 의원 측을 압박하고 있다.
물론 당사자는 “사실무근”이라며 펄쩍 뛰고 있다. 김 의원 은 “대명천지에 그런 것을 거짓말해서 여기까지 올 수 있었겠느냐""며 일축하고 있지만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김 의원 측이 “본관이 다른 것은 사실이나 증조 할머니가 재가하면서 비롯된 것""이라며 껄끄러운 가족사까지 동원, 해명에 나서기는 했지만 네티즌들은 이에 대해 여전히 미흡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문제는 김 의원 의 독립군 조상 논란이 엉뚱한 방향으로 튀고 있다는데 있다.
친일진상규명법 개정과정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불순한 의도로 본질이 호도되고 있는 기미가 역력하다.
이는 분명 간과할 수 없는 심각한 현상이다.
그런데 이를 침소봉대시켜 여론을 확산시키고 있는 속셈은 너무나 뻔하다.
어떻게 해서든 친일청산규명을 막아보자는 안간힘 아니겠는가.
지난 날 반민특위가 중도에 좌절됐던 과정에 진상규명을 두려워하는 무리들의 집요한 방해공작이 있었다.
그들이 누구인가.
이 사회의 갖은 기득권을 누리며 자신들의 죄과가 세상에 드러나는 것을 두려워한 당사자들이다.
이미 오래전 마무리됐어야 할 우리 역사의 아픔이 이들의 이기심 때문에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숙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것도 모자라 마지막 젖 먹던 힘까지 동원해 친일청산 진상 규명 작업을 방해하고 있다.
감히 역사의 진실을 손바닥으로 가리려고 하는 이들이 얼마나 어리석은지.
진상규명은 역사에 있어 필연적인 절차다.
피할 수 없다면 자수해서 광명 찾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