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협회 필요한가
고 하 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4-11-04 19:30:20
{ILINK:1} 최근 진보언론단체와 개혁언론사로부터 신문협회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다.
드디어 올 것이 왔다는 말이다.
우리는 이미 신문협회의 존재에 대해 지극히 부정적인 판단을 내리고 있었다.
사실 신문협회라는 게 무엇인가.
오로지 족벌신문사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신문집단 조직체에 불과한 것 아니겠는가. 더구나 신문협회는 신문법의 핵심내용이어야 할 소유지분을 제한하는 조항을 쏙 빼버린, 껍데기뿐인 열린우리당의 법안조차 언론자유 침해 운운하며 비판하고 있는 마당이다.
이는 한마디로 신문시장을 불법, 탈법, 난장판으로 만든 장본인 중의 하나인 홍석현 회장과 중앙일보를 비롯한 족벌신문을 위해 존재하는 단체라는 것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신문협회는 해체돼야 한다는 게 전국언론노동조합의 입장이다.
필자 역시 언론노동조합의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하는 바다.
신문독과점을 규제하는 내용의 신문법 제정을 반대하는 신문협회의 목적은 분명하다. 특정 족벌언론의 시장 독과점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저들의 시장 독과점의 희생양인 작은 신문사 경영인들은 물론, 거기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을 조롱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그런데도 거기에 안주하는 작은 신문사들의 태도가 참으로 한심하게만 보인다. 뭐 얻어먹을 것이 있다고 거기에 머물고 있는가.
신문협회는 그동안 줄곧 특정 족벌언론의 이해만 대변하는 역할을 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지난 해 정부가 신문고시 개정 방침을 밝혔을 때도 신문협회는 시장 질서를 단속할 권한을 정부에 빼앗기지 않기 위해 이를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었다.
이미 특정 몇몇 언론이 시장의 70%를 점유하는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자율규제를 하겠다는 것은 한마디로 신문시장의 질서를 바로잡는 것을 포기하라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이 얼마나 뻔뻔한 모습인가.
언론매체의 민주적 기능을 담보하기 위해 사회적 권력체로서 언론매체에 대한 국가 규제를 `언론자유 침해’라고 주장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일이다.
필자도 언론인이다. 언론인으로서 정부의 규제를 요구하는 것은 같은 언론인들이 볼 때에 ‘미친놈’쯤으로 여겨질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헝클어 질대로 헝크러진 신문시장의 모습을 바로잡기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신문의 입장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이를 부정하고 반대하는 신문협회라면 더 이상 존재의 의의가 없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따라서 특정 족벌언론사의 잇속 챙기기에 혈안이 돼 있는 신문협회의 즉각 해체를 요구하는 전국언론노동조합에 적극적인 지지와 성원을 보내는 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