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 지역이다
편집국장 고 하 승
시민일보
| 2005-01-10 20:46:12
{ILINK:1} 지금 일부 시민단체들이 강력한 연대체를 조직하고 ‘서울지역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지난해에 이미 “‘서울=중앙’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깨겠다”며 “서울을 지역으로 강등시키는 운동을 하겠다”고 선언한 ‘서울시민포럼’이 창립됐는가 하면, “개발주의 서울시정을 감시하겠다”고 선언한 서울혁신연대(준)도 출범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특히 오는 27일에는 각 단체간 공동대변인단을 구성해 서울지역 사안에 대해 강한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는 등 체계적인 대응을 하게 될 ‘서울시민연대’가 발족된다고 하니 참으로 기대가 크다.
이처럼 서울에 ‘지역’관점을 가지고 대응할 시민단체가 생기고 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서울 지역운동은 자치·분권 강화의 처음이자 해결의 단초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그동안 각 시민단체는 서울을 중앙으로 인식해 지역시민운동의 불모지를 만드는 우를 범하고 말았다.
그 결과는 참담했다.
물론 서울에 지역운동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동안의 지역운동은 경실련과 문화연대 등 일부 중앙시민단체에 의해 단편적으로 이뤄져 체계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음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즉 서울에 있는 시민단체들이 서울지역의 이해보다 전국적인 관점에서 운동을 진행해 왔다는 말이다. 그로인한 실패는 어쩌면 당연한 귀결이었는지도 모른다.
실제로 시민단체들은 덕수궁터 미대사관 신축반대 시민모임 외에 서울시 대응 활동은 극히 빈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경실련, 문화연대, 녹색연합 등 7개 시민사회단체가 청계천복원공사와 관련, 네트워크를 구성했지만 내부 논의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기까지 했다. 뒤늦게 14개 단체로 이루어진 ‘올바른 청계천복원을 위한 연대회의’로 정식 발족해 몸추스리기에 나섰지만 별반 나아진 것은 없었다.
한마디로 실패한 중앙운동이었다는 말이다.
중앙운동이다 보니 개별단체 중심의 대응이 이뤄지기 일쑤였다. 게다가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안목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서울시정을 감시한다는 것이 어디 말처럼 그리 간단한 일이겠는가.
한 사안을 단순히 한 영역으로만 볼 수 없는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서울시정이다. 따라서 그저 중앙운동의 한 편으로 이해하는 차원의 운동이라면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지방분권은 분권, 자치, 지역혁신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물론 서울도 내부적으로 지역혁신이 필요하다. 주민참여에 의한 자치가 기반이 돼야 한다는 말이다. 그러자면 지역 전문인 시민단체가 필요하다.
그런데도 지금 서울 지역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시민단체들이 여전히 중앙운동적 접근 방식을 보이고 있으니 걱정이다. 특히 서울지역 소재 풀뿌리 단체 및 서울지역 언론과의 소통부재는 여간 걱정스러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
행여 말로만 ‘서울도 지역이다’라고 하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