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이 나서라

편집국장 고 하 승

시민일보

| 2005-01-13 21:04:36

{ILINK:1} 지금 신문협회 탈퇴 요구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지역신문위원회는 최근 “각사 경영진에 탈퇴 촉구”를 요구했으며, 이미 지난 1일 경남도민일보가 신문협회 탈퇴를 전격 선언한데 이어 전국 16개 지역신문이 이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지역신문위원회는 ▲각 가입사 지부를 통해 신문협회 탈퇴를 정식 노사협의회 안건으로 제기하고 ▲언론시민단체들과 연대해 신문협회 해체투쟁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혀, 신문협회 탈퇴 요구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사실 지역신문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이미 우리 시민일보는 신문법 개정 논의당시부터 신문협회의 잘못된 행태를 수차에 걸쳐 지적해 온바 있다.

실제로 신문협회는 신문법 개정당시 “시장점유율 제한, 광고지면 제한, 편집규약과 편집위원회 설치 강제화, 경영자료 제출 의무화, 독자위원회 설치의무화 등의 조항들은 신문제작 및 경영에 대한 정부의 지나친 규제와 간섭을 일상화할 우려가 있고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관련 법률도 언론보도의 위축효과를 초래할 소지가 있다”며 언론개혁에 딴죽을 거는 일도 서슴지 않았다.

또한 신문협회는 그 거창한 이름과는 달리 한국신문의 공동발전과 권익을 위한 단체라기보다 일부 족벌·재벌신문사 사장들의 개인적 이익을 위한 모임에 불과하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었다.

사실 신문협회는 소위 조·중·동 등 족벌언론의 대변인 노릇을 하면서 마이너신문이나 지역신문을 들러리로만 인식할 뿐이었다는 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신문협회 탈퇴움직임이 가속화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탄력이 붙지 않는다.

이유는 무엇일까.

여전히 신문협회라는 그늘에 안주하고자 하는 마이너신문 경영진들의 어정쩡한 태도 때문이다.

실제로 마이너신문 가운데 하나인 경향신문의 조용상 사장은 “기존 신문협회는 회원사들간의 사교모임 역할밖에 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서도 “신문법 통과를 계기로 공정한 신문유통시장을 만들고 땅에 떨어진 신문의 신뢰도를 높이는 역할을 신문협회가 해야 하는 데, 경향신문은 이런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탈퇴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신문협회에서 일을 하겠다는 것이다.

물론 다른 마이너신문들도 경향신문처럼 눈치보기를 하고 있을 뿐, 지역신문들처럼 과감하게 나서서 탈퇴움직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된다면, 신문협회의 오만함은 끝이 없을 것이다. 이들의 독주를 막기위해서라도 국민주로 탄생한 한겨레신문이 전면에 나서서 신문협회탈퇴를 선언할 필요가 있다.

‘족벌·재벌신문 이익의 대변자’로 만족해하는 한낱 ‘관제협회’에 ‘한겨레신문’이 머물 까닭은 없지 않은가.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