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계개편은 국민의 몫이다

고 하 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5-01-24 20:47:22

{ILINK:1} 김효석 의원의 교육부총리 제의 파문에 이어 이번에는 추미애 전 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말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입각 제의를 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돼 정치권의 일대 파란이 예상된다.

사실 추 의원의 입각제의설은 어디까지나 미확인 주장으로서 아직은 신빙성이 별로 없다.

하지만 앞서 노 대통령이 민주당 김 의원에게 교육 부총리직을 제의했던 것과 관련, 지난 23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갖고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의 합당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사자인 민주당은 물론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까지 정치적 의도를 경계하면서 정계개편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추 의원의 입각제의설은 미확인 소문임에도 불구하고 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실제로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24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추 전 의원은 사실확인을 위한 국제통화에서 노 대통령의 입각 제의는 사실이라고 말했다”면서 “시끄러운 와중에 일이 커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간곡하게 말했다”고 전했다.

유 대변인은 “추 전 의원은 지금 공부 하러 미국에 있는 상황이라 국내일에 대해 직접적인 관계를 하고 있지 않다”면서 “이 때문에 사실 확인 자체도 하고 싶지 않지만 언론에 보도된 이상 사실확인을 재차 요청하자 기사 내용에 대해 ‘사실’이라고 확인했다”고 말했다.

물론 필자는 유 대변인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그러나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추미애 입각설과 관련, “전혀 사실이 아니다”면서 “공식·비공식 어느 형태로든 추 전 의원에게 입각을 제의한 사실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김 대변인이 거짓을 말하는 것인가. 물론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유 대변인이나 김 대변인의 말이 모두 거짓이 아니라면, 그것은 모순(矛盾)이다. 그러나 때로는 그 모순이 진실일 수도 있다.

단지 서로간의 오해에서 빚어진 일일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를 두고 여권이 민주당과의 통합 밑그림을 그리고 있으며, 정치 스케줄까지 짜고 있다는 등의 확대해석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노 대통령으로부터 교육부총리직을 제안 받았다가 고사한 김 의원도 이 같은 해석을 경계하고 있는 마당이다.

김 의원은 ‘민주당과의 합당과 정계재편의 신호탄’이라는 해석에 대해 “이번 일을 정쟁에 이용하면 안된다”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

오죽하면, “부총리직 고사이후 연일 계속되는 정치공방으로 마음이 답답하고 고통스러워 잠을 이루기가 어렵다”고 토로했겠는가.

설은 그냥 설일 뿐이다. 그 설에 일희일비(一喜一悲)하는 정치권이라면 그 수준이 의심스럽지 않겠는가.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은 이제 합당논란을 자제해 주기 바란다. 물론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 역시 이들의 노름에 덩달아 춤추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정계개편은 정치권의 몫이 아니라 바로 국민의 몫인 까닭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