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10월완공 집착 버려라
고하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5-05-09 21:28:01
{ILINK:1} 이명박 서울시장은 청계천 복원사업과 관련, 수뢰 혐의를 받고 있는 양윤재 서울시 행정2부시장의 구속에도 불구하고 10월 완공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이 시장은 9일 오전 “검찰 수사가 청계천사업 전반으로 확대되면 10월 완공을 앞둔 복원사업이 타격을 받지 않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청계천사업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제는 10월 완공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
그동안 시민일보는 시민단체들과 함께 서울시의 독단적이고 독선적인 사업추진에 대해 숱하게 비판을 가해 왔다. 오죽하면 지난해 9월 파행적인 시민위원회 운영에 반발, 청계천복원시민위원들이 집단으로 사퇴를 했겠는가.
이런 상황에서 청계천 복원은 이 시장의 ‘치적’이라기보다, 오히려 이 시장의 비민주적이고 독선적인 행정이 만들어낸 산물이라는 점에서 ‘치욕’으로 기록될법하다.
우선 서울시는 청계천 인근에 대한 무차별적 개발을 유도·조장해 왔다는 점에서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서울시의 계획대로라면 복원된 청계천은 고층건물의 숲으로 둘러싸여버리고 만다. 맑은 물이 도심을 흐르는 청계천을 상상한 시민들의 기대를 여지없이 무너뜨리고 마는 것이다. 초고층 건물이 뒤덮은 청계천은 시민들의 쉼터로서 적절하지 않다.
그렇다면 시민의 혈세가 자그마치 3650억 이상이나 들어가는 청계천 복원은 도대체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사업인가. 명분은 시민을 위한 사업이라고 하지만 실상은 뇌물을 준 개발업자들을 위한 사업 아니겠는가. 더구나 청계천 인근의 고층, 고밀화가 서울시의 대중교통체계개편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교통난과 환경적 악영향을 불러올 것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이 시장은 지금이라도 10월 완공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청계천 일원에 대한 개발지향적 정책을 전면 수정, 공공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청계천 복원 10월 완공에 집착한 나머지 그동안 서울시는 얼마나 많은 과오를 범해 왔는가.
실제로 시는 청계천 옛 다리의 복원과 사적 지정에 반대해 왔다. 물론 공사에 방해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심지어 공사를 강행하느라 호안석축과 광통교 등 소중한 문화재를 훼손하는 일도 서슴지 않았다. 오죽하면 이명박 시장과 양윤재 부시장이 시민단체들로부터 호안석축 훼손혐의로 검찰에 고발당했겠는가. 그런데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올해 3월에는 또다시 광통교 바닥돌을 훼손하는 사건을 반복하고 말았다.
청계천 복원이라는 미명하에 청계천 일대 문화와 환경이 철저하게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오는 10월1일은 서울시가 시민들에게 약속한 청계천의 준공일이다. 그러나 차라리 조금 늦더라도 시민을 위한 공공성 있는 청계천 복원이 이뤄진다면 시민들은 기꺼이 기다려 줄 것이다.
지난해 7월1일 무리하게 일정을 맞추느라 시민을 불편을 초래했던 대중교통체계 개편의 교훈을 이 시장은 벌써 잊었는가.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