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 강화돼야
고하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5-05-26 21:14:12
{ILINK:1} 단체장 직선 이후 인사가 종전보다 더 정실에 치우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거로 인해 공무원간에 갈등도 많아졌다.
이것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공통된 생각이라고 하니, 여간 걱정스러운 게 아니다.
이런 상태에서 능률적인 공무수행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가전문행정연수원 및 경기도공무원 교육원에 입소한 지방공무원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72.3%가 직선제 이전보다 공무원 인사가 더 정실에 치우치고 있다고 응답해 대다수 공무원들이 인사가 불공정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또 응답자의 70%는 업무수행 과정에서 단체장과 공무원 간의 갈등이 증가했다는 데 동의했고 84.4%는 단체장 선거로 인해 공무원간의 갈등이 많아졌다고 응답했다.
물론 지방정부의 인사 불공정 문제는 자치단체장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라는 데 원인이 있을 것이다. 실제로 서울 강남구의 경우, 격려제라는 희한한 제도로 구청장 측근들만 골라 승진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지만 속수무책이다.
강남구의회가 나서서 적절하게 견제를 해야겠지만, 불행하게도 의회는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내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이런 현상은 주민자치를 외면하고 있는 강남구가 전국에서 가장 심하겠지만, 이와 유사한 사례는 다른 자치단체에서도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걱정이다.
공무원들은 공무원 노조의 강화(41.7%), 다면평가를 비롯한 평정 객관화(33.3%), 인사위원회 강화(23.4%), 주민에 대한 인사공개 제도의 강화(8.9%) 등을 통해 단체장의 전횡을 견제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즉 공무원노조가 강화돼야만 단체장의 인사전횡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단체장의 독선과 횡포를 방지한다면 이로 인한 공무원간의 갈등도 사라지게 될 것이고, 능률도 그만큼 향상될 것은 당연한 이치다. 그렇다면 공무원노조를 반대할 이유가 없지 않겠는가.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 단체장의 관리권에 대한 지나친 제약과 노조로부터의 정치적 영향 등을 감안할 때 현재 상황에서 바람직한 대안으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가장 무난한 대안은 인사위원회의 강화라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인사위원회제도에 대해 공무원의 87.5%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설령 이 제도가 강화된다고 하더라도 믿을만한 게 못 된다는 말이다.
또 민간 인사위원에 대해서는 공직사정을 모르거나(85.3%), 단체장의 정실임용(77.6%), 전문성 부족(79.2%) 등으로 인해 단체장의 결정을 추인할 뿐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이는 내부 사정을 가장 잘 아는 공무원집단의 답변이다. 그들이 내린 결론이 ‘공무원노조의 강화’라면, 그것이 정답에 가깝지 않겠는가.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