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으로 돌아가겠습니다.
노 웅 래 국회의원
시민일보
| 2005-06-06 20:00:46
지난 월요일(5.30)부터 1박2일간 무주의 한 콘도에서 열린우리당 모든 국회의원과 중앙위원들이 참석한 합동 워크숍이 있었습니다. 1박2일이라고 했지만 사실 새벽까지 계속된 지난한 토론이어서 무박2일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23대 0, 4.30 재·보선 참패 이후 꼭 한달만의 일이었습니다. 재·보선 이후 “열린우리당이 무기력, 위기” 등 우리당이 추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지만 한마디로 속수무책이었습니다. 뒤늦게나마 민심에 귀를 기울이기 위해 한자리에 모인 것 자체에서 희망의 불씨를 읽을 수 있었습니다.
첫째 “국민의 의사를 올바로 대변하지 않는다” “민심과 거꾸로 간다”는 정부여당에 대한 불만이 거침없이 나왔습니다.
경제가 어렵다고 아우성인데 왜 세금만 올리고 부동산을 꽁꽁 묶어 두냐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투명성 제고, 체질개선, 조세형평 등 정부의 정책 자체에 이의를 다는 사람은 없었습니다만 아무리 좋은 일이라 하더라도 상황을 봐가며 추진해야지 무조건 밀어붙이면 되느냐는 볼멘소리가 이어졌습니다.
둘째 보궐선거 공천문제입니다. 전략공천이라는 이유로 해당 지역 당원과 주민들의 정서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점이 제기됐습니다. 이러다보니 우리당 후보는 지역 당원과 주민들의 전적인 지지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국민이 주인 되는 정당, 당원이 주인 되는 정당’이라는 당의 기본정신에 역행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셋째 보궐선거 과정도 거론됐습니다. 선심공약이 쏟아졌고 돈 봉투 제공 의혹에 까지 휘말렸습니다. 과거와 같은 구태 정치 망령이 되살아나는 듯 했습니다. ‘깨끗한 정치’를 하겠다는 열린우리당의 창당정신을 무색하게 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습니다.
넷째 당·정·청 일부 관계자가 연루된 러시아 유전 사업과 행담도 개발 등 각종 의혹사건 역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좋은 사업 취지와 상관없이 사업 추진이 부적절하고 불투명했다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투명한 사회’를 주창하는 참여정부의 국정 기조를 뒤흔들었다는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다섯째 각종 의혹사건에 대한 정부여당의 무기력한 대응도 제기됐습니다. 의혹사건이 몇 달째 계속돼도 어느 누구도 수습하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는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습니다. 국정을 책임져야 할 여당이 정국을 주도하지 못하고 왜 끌려만 다니냐는 것입니다.
이 밖에도 당정분리가 지나치게 원칙에 얽매여 국정의 원활한 운용 자체를 어렵게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출발을 다짐했습니다.
‘변화와 개혁’의 기치 하에 ‘깨끗한 정치’와 ‘국민통합’을 주창해 국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불러일으켰던 창당정신으로 되돌아가는 것만이 열린우리당이 다시 국민에게 다가가는 길임을 깨닫는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