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전력 지원
박태우 대만국립정치대 외교학과 객좌교수
시민일보
| 2005-07-14 20:57:58
{ILINK:1} 한국을 방문중인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우리정부의 독자적인 200만KW의 대북전력지원안(案)에 대해 일단 환영의 뜻을 전하면서도 앞으로 열릴 6자회담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논의한다는 단서를 달고 있다.
환언하면 표면적인 6자회담 당사국 및 유럽연합(EU)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환영에도 불구하고, 이 제안이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결실을 맺으려면 우리 정부의 원칙적인고 단호한, 한반도비핵화를 실현하려는 상호주의(reciprocity)의 엄격한 적용을 대북정책에서 시행한다는 입장을 공표해야 한다.
이보다도 다자주의(multilateralism) 해결방식으로 진행중인 6자회담에서 북한의 공식적인 반응과 더불어서 그 동안에 미국과 중국 일본 등이 중심이 되어서 내 놓은 제안들과의 연관성을 만들어내고 조율하는 힘겨운 작업이 남아있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우리정부의 외교적 능력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북한이 완전하게 핵을 포기해야만 체제안전보장을 한다’는 미국의 흔들리지 않는 기본원칙에 북한이 어떤 태도로 임할지도 큰 변수인 것이다.
북한이 현실적으로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밖에 없는 경제지원보다도 우선순위로 체제보장을 받아내는 것이 급선무이기에 당분간 좋은 분위기에서 우리정부의 제안이 받아들여지는 긍정적 효과가 미국을 상대로 한 체제보장 협상과정과 어떻게 맞물려 갈지도 큰 변수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회담재개를 촉진하는 촉진제 역할측면에서의 대(對)북전력공급안(案)의 역할이 평가를 받고 있지만, 결국은 북한이 우선순위로 보고 있는 체제보장협상결과에 따라서 성사여부가 판결이 나는 북핵 문제 해결의 한 종속변수란 사실도 알아야 할 것이다.
이제 공은 6자회담장으로 복귀하는 북한측의 태도와 의도로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정부도 그 동안 미국이 제시한 안에 대한 공식적인 북한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상이 아니라는 것이 냉정한 전문가들의 시각임을 우리가 알아야 한다.
우리가 쓸 수 있는 유일한 카드였던 대북경제지원의 규모와 방법이 세상에 다 알려지면서, 이제 북한의 주된 관심은 미국과의 담판을 통한 체제보장으로 옮겨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 정부가 앞서 자발적으로 대북전력지원은 우리정부 독자적으로 하겠다고 천명하고 나선 마당에 그 동안에 중단되었던 대북중유공급에 대한 부담이 어떻게 조율될지도 큰 과제로 남게 되었다.
최근에 우리사회내의 가중되는 민생고(民生苦)를 생각하면 수십 억 달러가 소진되고 있는 대북지원사업의 정당성과 국민적 합의에 대한 정부의 진지한 노력이 보이지 않는 것이 매우 안타까운 측면이기도 하다. 이 부분을 야당이 나라의 예산을 집행하는 행정부를 적절히 견제하는 차원에서 국민들의 여론을 수렴하고 그 여론을 대북지원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한 언론사에 의해서 공표된 국민들의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 결과, 찬성과 반대가 대등하게 나온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그 동안에는 업무의 특성상 보안을 전제로 모든 일을 진행하고 국민들의 알권리를 잠시 유보했다지만 지금부터는 한 정권을 넘어선 역사적인 대북지원사업의 영속성을 보장하고 특정정파의 전유물이 되어선 안될 사업자체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차원의 대(對)국민 홍보 및 동의절차가 필수조건으로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우리정부는 혹시나 단기적 성과주의 및 북핵 문제의 절박성에 매몰되어서 정부내의 관련부처와 기술적으로 문제점이 무엇인지 검토하지 않았다면 지금부터라도 진지하게 점검할 때가 된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