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출마 기선잡기용’
고 하 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5-11-13 20:33:57
{ILINK:1} 최근 한나라당 운영위를 통과한 `혁신안 수정안’이 대선주자 선거인단에 참여할 책임당원 비율을 최대 80%까지 채울 수 있도록 하자 비당권파 측의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소장·개혁파 등 당내 비주류는 물론 대권후보 경쟁자인 이명박 서울시장과 손학규 경기지사 측까지 가세해 “책임당원만 당원이냐”며 혁신안 수정안 무효화와 원안 복원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한나라당 혁신안을 둘러싼 당 내분은 알고 보니 ‘차기서울시장 출마 예정자들의 기선잡기용’이라고 한다.
내년 5월 서울시장 출마예정자들이 자신의 속내를 감추고, ‘국민참여 경선확대’라는 명분을 내세워 박근혜 대표, 이명박 서울시장, 손학규 경기도지사 등 한나라당 대권후보들의 ‘기싸움’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관측이 억측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돌아가는 판세를 보면 딱히 그런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우선 지난 10일 당 운영위원회가 대선 후보 경선 선거인단에 당원 참여를 당초 50%에서 최대 80%로 늘린 것을 놓고 서울시장 출마예정자인 수요모임 원희룡 의원과 국가발전연구회 홍준표 의원이 가장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서울시장 출마예정자들이다.
그리고 이들은 당내 지지보다 서울시민들로부터 지지를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일반시민들이 많이 참여하는 경선일수록 이들에게 유리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주장이 잘못된 것일까?
우선 혁신안 원안은 대선 및 광역단체장 선거 후보 선출과 관련, 선호도 반영 비율을 ▲일반국민 선거인단 30% ▲당원 선거인단 30% ▲대의원 20% ▲여론조사 결과 20%로 정한 반면, 수정안은 당원 선거인단을 책임당원으로 한정하고, 일반국민 선거인단에도 책임당원이 포함될 수 있게 했다.
후보 선출 과정에서 많게는 80%까지 책임당원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관련 김무성 사무총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책임당원에 기회를 주는 게 예의라서 그렇게 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국민참여경선’이라는 본래 의미를 퇴색시킨 채 `책임당원 경선’으로 전락했다는 점에서 이는 우려할만한 일이다.
홍준표 의원의 주장에 따르면 이회창 전 총재 당시에도 국민참여 비율이 이보다 높았다고 한다. 그러니 시대에 역행하는 발상이라는 비난을 받아도 한나라당은 할 말이 없을 것이다.
혁신안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향해 ‘서울시장 출마 포석용’을 운운하기 이전에 당 지도부는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면밀하게 살피고, 제대로 된 혁신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과거로 회귀하는 한나라당이라면, 국민의 지지도 그만큼 멀어질 뿐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