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참여’정당을 위해
시민일보
| 2006-02-05 19:59:30
우리당의 기간당원제가 연일 오욕을 당하고 있습니다. 경찰이 시도당을 압수·수색하고 언론에서는 연일 기간당원제를 조롱하고 있습니다. 열린우리당이 내건 모토인 참여 정당은 시대정신의 반영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후보경선에서 승리하고 대통령에 당선된 것은 ‘동원’에 대한 ‘참여’의 승리를 확증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당이 기간당원제를 채택한 것은 이 참여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기간당원제는 ‘참여’라는 취지에서 멀리 벗어나 ‘동원’으로 퇴행하고 있습니다.
당비제도와 공천제도를 재정비하여야 합니다. 현재는 월 2000원의 당비를 6개월 납부하면 기간당원의 자격을 갖습니다. 그러면 당직 및 공직 선거권, 피선거권을 갖습니다. 기간당원은 공직선거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습니다. 이런 상황이면 출마자들은 아무리 경찰에서 선관위에서 제재를 한다고 하더라도 유령당원, 동원당원, 대납당원의 유혹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제도를 먼저 손보아야 합니다.
당비를 올려야 합니다. 저는 예전에 개혁당에서 시행하였던 월 당비 1만원제를 도입하고 여기에 우리당의 6개월 경과규정을 합칠 것을 제안합니다. 예전의 개혁당에는 국회의원 선거구별로 하면 평균 40~50명의 진성당원이 있었습니다. 당원이 200명이 넘는 선거구도 있었습니다. 우리당은 국회의원 선거구별로 200~300명 정도의 기간당원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여기에 당비를 내는 기간당원의 10~20%의 비율로 여러 가지 사정으로 당비를 내지는 못하지만 당을 위해 헌신적으로 활동하는 분들을 기간당원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지역에 가면 만원이 아니라 10만원, 100만원의 값어치가 있는 활동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데 이 경우 객관적 기준이 분명치 않으면 기간당원제를 근본에서 흔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정한 비율로 한정하자는 것입니다.
앞으로는 공직선거에서 얼마나 일반 국민, 지지자를 참여시킬 수 있는가에 따라 정당의 성패를 좌우할 것입니다. 작지만 단단한 중심을 세우고, 국민에게는 열려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우리당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금은 이도저도 아닙니다. 명실상부한 기간당원들이 국민 속에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당의 입장을 국민 속에 전파하고, 어려운 일이 닥치면 서로 격려하고 위로하는 그런 당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방선거까지는 지금의 체제로 가야 합니다. 하지만 지방선거가 끝나면 바로 당헌을 개정해야 합니다. 대통령선거를 준비해야 합니다. 대통령선거를 승리로 이끌 열성당원으로 똘똘 뭉친 우리당을, 국민 속에 깊고 넓은 네트워크를 형성한 우리당을 만들어야 합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