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서민정치 파이팅!
심재옥(민주노동당 최고위원)
시민일보
| 2006-05-17 20:47:07
예전에 읽었던 소설 중에 요즘 자꾸 기억나는 소설이 있다. 박완서의 ‘도둑맞은 가난’이다. 소설의 줄거리는 가난한 ‘공순이’가 순전히 생활비를 절약하기 위해 말없고 착해 보이는 ‘공돌이’와 살림을 합쳤다가 진짜로 사랑하게 되었는데, 알고 보니 그 공돌이는 세상공부를 하러 나온 사장님의 아드님이었다는 얘기다. 지지리 궁상으로 살았던 그 공순이가 그 가짜 공돌이가 쥐어주고 떠난 돈 봉투를 들고 망연자실하던 장면에서 나 또한 쓰라린 상처를 받았던 기억이 난다.
선거가 한참인 요즘, 그 소설이 자꾸만 생각나는 이유는 보수정당 후보들의 ‘가난 마케팅’ 때문이다. 그때 그 시절에 그 정도 가난의 추억을 갖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될까.
1500만원의 월급을 받은 변호사출신 서울시장 후보는 ‘돈이 있어도 생활 속에서 서글프고 고달프면 서민’이라지 않은가.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살기 빠듯한 서민들이 넘쳐나는 현실에서 그의 서민에 대한 정의는 분노를 자극한다. 게다가 장관출신의 또 다른 후보도 연말 1억원의 배당금까지 받으면서도 빚이 많고 언니 집에 살고 있다면서, 둘 간의 맞짱 토론에서 자신들의 서민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서민 논쟁’까지 벌이고 있다.
성추문에 공천비리에 황제테니스로 온갖 악취가 풍겨도 굳건한 지지율을 과시하고 있는 한나라당의 기이한 지지율을 보면서, 그들이 훔쳐간 가난한 서민들의 행복할 권리를 되찾기 위한 민주노동당의 노력은 충분했었는지 따져보게 된다.
집 있는 부자들의 세금을 깍아주느라 가난한 서민들의 복지를 반납해야했던 상황이나 예산의 대부분이 개발사업에 쓸려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대응은 충분했는가를 돌아볼 일이다. 지역주민의 삶에 밀착된 우리의 일상사업을 강화하지 않고서는 보수정당의 서민 마케팅으로 쓸려가는 진짜 서민들의 표를 지켜낼 수 없다.
마케팅과 이미지 전략의 허망한 본질은 금방 드러난다. 그 빈자리를 진짜 서민정치로 채워내기 위한 생활 속의 진보, 일상 속의 정치를 만들어 가야한다. 지금보다도 더 신발끈 조여 매는, 진짜 서민 민주노동당 후보들 파이팅이다.
위 글은 시민일보 5월18일자 오피니언 5면에 게재됩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