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후폭풍, ‘정계개편론’
고하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6-05-28 17:19:45
{ILINK:1} 5.31 지방선거에서 여당의 참패가 예상되면서 정계개편론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하지만 이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필자는 이미 정동영 의장이 열린우리당 당의장에 선출되던 지난해에 이 같은 일이 벌어질 것을 예상하고, 헤쳐 모여식 정계개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을 본란에서 밝힌 바 있다.
선거 직후 열린우리당이 가장 먼저 맞닥뜨릴 문제는 선거책임론이다.
일각에서는 선거참패의 책임을 특정인에게 지울 수 없다는 점과 대안부재를 이유로 현상유지를 주장하고 있지만, 대세는 정 의장에 대한 책임론 쪽으로 기울어 가는 분위기다.
특히 당내 일각에서는 열린우리당이 분당 이전의 수준으로 당이 슬림화되는 한이 있더라도 신당창당이 필요하다는 주장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는 ‘정권재창출을 위해 지금 이대로는 안된다’는 절박감이 배어 있다.
비록 정동영 의장이 최근 반한나라당 전선을 구축하기 위해 문턱을 낮추겠다며 통합론을 제기했으나, 힘이 실릴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정 의장이 제안한 통합론은 민주당과의 통합은 물론, 고 건 전 총리와의 협력도 모색하겠다는 것이지만, 당내 견해차가 너무나 뚜렷하기 때문이다.
우선 노무현 대통령이 민주당과의 통합에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민주당과의 통합을 논의하자면 친노파와의 결별이 불가피하다는 것.
노 대통령의 정무특보를 지낸 바 있는 김두관 경남지사 후보는 정 의장을 향해 “민주당과의 통합론은 배신행위로 실용주의가 당 위기를 불러왔다”며 정면으로 비판하는 가하면, 노골적으로 정동영 당의장의 사퇴와 출당을 요구했다.
이강철 청와대 특보 역시 정 의장을 향해 “꼼수를 부리지 말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같은 갈등은 5.31 이후 더욱 심화될 것이며 양자는 열린우리당이라는 한배를 타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당이 깨지는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다.
더구나 정 의장이 고 전 총리에게 손을 내밀지만, 궁극적으로 그에게 대권주자 자리를 양보하는 것이 아닌 만큼 쉽사리 연대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정 의장의 힘을 빼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지방선거 패배와 낮은 당지지율의 영향으로 당분간 열린우리당이 주도권을 쥐는 정계개편 시도가 탄력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민주당이나 국민중심당이 힘을 지니고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당분간 우왕좌왕하는 정계개편 논의가 이뤄지다가 결국, 우리당 일파는 민주당-국중당 등과 합당을 모색할 것이다.
물론 나머지는 노 대통령과 함께 ‘선명 제 3당’을 창당하는 수순을 밟게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 한나라당 개혁파가 가세할 확률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따라서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이 주축을 이루던 과거 개혁당 수준의 정말 슬림한 여당이 탄생할지도 모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