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풍 구청장님 물러나시지요

고하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7-03-07 17:48:08

{ILINK:1} 오는 5월부터 주민소환제가 본격적으로 적용된다.
그렇다면 온갖 대형 사고가 잇따라 터지는 서울 강북구의 김현풍 구청장은 과연 임기를 마칠 때까지 무사히 그 자리를 지킬 수 있을까?

염치가 있다면 김 구청장 스스로 주민들 앞에 사과하며 용퇴를 결심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주민소환제에 의해 불미스럽게 그 자리에서 끌려 내려올 수도 있을 것이다. 필자가 이렇게 판단하는 데에는 나름대로 근거가 있다.
우선 지난해 이른바 ‘꿀꿀이죽’ 사건으로 사회에 큰 파문과 물의를 일으켰던 강북구가 최근에는 청소용역업체 입찰 과정에서 탈락한 강북환경이 명의를 바꿔 낙찰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돼 경찰로부터 내사를 받는가 하면, 유령 관변단체 등에 예산을 지원했다가 발각되는 등 온갖 물의를 빚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 강북경찰서가 지난 6일 강북구청의 청소용역업체 입찰 과정에서 탈락한 강북환경이 명의를 바꿔 낙찰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돼 내사를 벌이고 있다고 한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1월18일 강북구청 홈페이지에 강북환경에 관한 제보 글이 접수돼 경찰이 청소과 담당자와 업체 관계자를 불러 조사를 벌였다는 것.

경찰 관계자는 “10여년간 청소용역을 담당했던 강북환경가 지난해 주민 만족도 조사에서 낮은 점수를 이유로 탈락한 뒤 명의를 변경해 재선정됐다는 제보가 접수돼 공무원과의 유착 관계를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업체 관계자는 경찰에서 “규정과 법에 따라 입찰 과정에 임했으며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의혹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
강북구의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강북구의회 이기황 의원은 지난 1월25일 “바르게살기 수유3, 6동, 자유총연맹 번2동, 수유2, 4동에 단체의 명단이 없는데도 동별로 유지비가 지급된 사례가 있다”며 “동으로 나간 그 돈이 지금 어디에 잠겨 있는지, 혹시 누군가 이 돈을 개인적으로 사용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이 의원은 “이러한 현상이 수년간 지속돼 왔는데도 구에서는 아직 이에 대해 명확하게 해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일”이라며 “자체감사의 허점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했다.


물론 이에 대해 구청 측은 “번2동 자유총연맹 동 조직에 그런 경우가 있어 지원금을 회수 조치했으며, 새마을지도자 협의회 수유 4, 6동, 바르게살기 수유3, 6동, 자유총연맹 수유2, 4동은 활동이 미약했을 뿐 조직은 존재하고 있다”고 해명했으나, 이 해명이 가관이다.
자신들 스스로 활동이 미약한 단체에 주민들의 아까운 혈세를 ‘펑펑’써 댔다고 고백하는 것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특히 구청 측의 “명단에 이들 동 조직이 빠져 있던 것은 자료 제출 시간이 촉박했기 때문”이라는 변명은 어이가 없다. 도무지 반성하는 기색이라고는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이른바 ‘꿀꿀이죽’ 어린이집 사건이 터질 때도 마찬가지였다.

온 국민이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에게 ‘굴꿀이죽’을 먹였다는 사실에 분노하고 있을 때, 김 구청장이 어떻게 처신했는지 우리는 분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당시 시민일보가 아닌 다른 언론사는 “김현풍 강북구청장은 학부모들의 빗발치는 항의에도 불구하고, ‘꿀꿀이죽’ 해당 원장을 비호하는 등 비상식적인 태도로 일관하여 강북구청을 전 국민의 비난의 대상으로 전락시켰으며, 사태발생이후 지금까지 단 한차례도 학부모들과 피해아들 앞에서 사과하지 않고 책임회피에 급급한 태도를 보여 주민들의 분노를 산 바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사실 이런 정도라면 주민들 앞에 사과하고 용퇴하는 게 옳다. 더구나 그는 선거법 위반 상습범으로 낙인까지 찍힌 인물이다.
실제 서울북부지법 제11형사부는 김 구청장에게 벌금 200만원을 선고했었다. 2심에서 가까스로 100만원 미만의 형으로 감형돼 구청장직을 유지하게 됐으나,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가.
더욱 가관인 것은 그가 지난 2003년에도 비슷한 이유로 벌금 80만원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다는 사실이다. 범행을 반복해서 저질렀다는 말이다.

법이 관용을 베풀었으면, 그만큼 자숙하고 올바른 행정을 전개했어야 옳다. 그런데 이게 뭔가.

만일 “부하 직원들이 한일로 나는 책임이 없다”고 발뺌한다면, 그는 구청장으로서의 자격이 없는 사람일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