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李 - 朴 싸움 너무 지겹다
고하승 편집국장
시민일보
| 2007-05-03 19:40:07
{ILINK:1}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강재섭 대표의 쇄신안을 인정함으로써 한나라당 내홍은 일단 수습국면으로 전환되는 듯이 보였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캠프의 좌장격인 이재오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3일 경선룰ㆍ검증 등과 관련해 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앞서 이 전 시장도 지난 2일 견지동 안국포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미 합의가 된 당원과 국민참여 5:5라는 비율은 이미 결정이 됐기 때문에 그 한도 내에서 국민의 뜻이 50%, 당원의 뜻도 50%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즉 경선룰 협상에서 ‘여론조사 4만명 실시’ 입장에서 물러나지 않겠다는 뜻이다.
뿐만 아니라, 이 전 시장 측에서는 끊임없이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주장은 4.25 재보선 직후에 이 전 시장 진영 사람으로 분류되는 전재희 정책위의장이 “대선 승리를 위해 민의를 잘 반영해야 한다”며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를 이슈화했다. 이에 대해 김정훈 정보위원장도 “경선 외연을 넓히기 위해 오픈프라이머리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거들고 나섰다.
이 전 시장의 최측근인 정두언 의원도 “오픈프라이머리가 필요하며, 후보간 유불리를 떠나 당 외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물론 정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하는 것은 경선룰 협상에서 ‘4만명’이라는 마지노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발언일 것이다.
이 전 시장도 일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오픈프라이머리는 아니지만 그 취지나 정신을 살려 실질적으로 국민 50%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픈프라이머리가 목적이 아니라, ‘4만명’이 목표임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현재 합의된 경선룰을 깨자는 것이다.
앞서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는 지난 3월16일 경선룰에 전격 합의한 바 있다.
박 전 대표 역시 같은 날 울산시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끝까지 다 같이 가는 아름다운 경선을 바란다”며 ‘8월 -20만명’ 명 중재안을 수용했다.
경선 방식과 관련, 이미 한나라당은 선거인단 ‘20만명’으로 경선을 치르되 그 구성비율은 전당대회 대의원, 책임당원,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2:3:3:2’의 비율로 적용키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런데 느닷없이 이 전 시장 측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비율(20%)이 아닌 정수(4만표)로 반영해야 한다고 생떼를 쓰고 나선 것.
이에 대해 당중심모임의 맹형규 의원과 홍준표 의원 등은 “4만명이 아니라 20%가 맞다”고 결론을 내려줬다.
맹 의원과 홍 의원은 모두 지난 5.31 지방선거 당시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했던 사람들이다. 그들 역시 20%를 적용하는 경선을 치른 바 있다. 따라서 이 시장 측의 주장은 억지스러운 면이 많다는 것.
이와 관련해 맹 의원은 “여론조사는 선거인단의 유효투표율에 맞춰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맹 의원은 그 이유에 대해서는 “당헌에 반영된 당원과 국민 참여를 5대5로 하자는 취지는 경선에 참여할 기회를 5대5로 하자는 것이지 결과를 5대5로 하자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만일 이 전 시장 측 주장대로 ‘4만명’이라는 말도 안 되는 요구를 수요했다고 치자. 그러면 잠잠해 질까?
천만의 말씀이다. 그들은 또 다른 요구를 해 올 게 분명하다. 이 전 시장이 확실한 대권주자가 되는 경선방식이 아니라면, 그들은 아무리 자신들의 주장이 억지스럽더라도 고집스럽게 싸움을 걸어 올 것이다.
이런 다툼을 지켜봐야하는 국민의 마음은 지금 무척 피곤하다. 한나라당의 지지율이 30%대 떨어진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이런 사태가 지속된다면 언제 20%대로 추락할지 아무도 모른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으니, 정말 답답하다.
이명박 시장은 이런 저런 말도 안되는 요구를 하면서 생떼를 쓰지 말고, 차라리 ‘나를 대권후보로 인정해 달라’고 정식으로 당에 요구하는 게 어떨까?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