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천 후유증 걱정 된다
편집국장 고 하 승
시민일보
| 2008-01-14 17:32:16
""그 누가 살아있는 권력에 대항할 수 있겠는가. 결국은 이명박 당선자 의중으로 흘러갈 것이다.”
이는 한나라당 지도부 핵심 관계자가 당내 공천 갈등문제에 대해 기자에게 던진 말이다.
아무리 박근혜 전 대표가 이 문제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취하더라도 그의 뜻대로 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말로 들린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한나라당은 위기다. 살아있는 권력의 핵심 측근인사들의 자중이 절실하다. 역대 정권도 권력의 핵심측근들이 지나쳐서 문제된 사례가 많다. 자칫 잘못하면 이명박 정부는 공천 후유증으로 인해 후폭풍 맞아 어려움 겪을 수 있다”고 충고했다.
실제 그런 징후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우선 박성범 의원 흔들기를 단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서울 중구 출신의 박 의원은 자신의 지역구에서만큼은 '대통령’으로 통할만큼 단단한 장악력을 과시하고 있다.
실제 여론조사 결과 박 의원은 한나라당 공천에 눈독을 들이는 여타의 인사들보다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는 소문이다.
지난 17대 총선 당시 한강이남 지역에서 ‘탄핵역풍’을 뚫고 살아남은 한나라당 후보는 불과 몇 명이 되지 않는다.
그 가운데 한 사람이 바로 박 의원이다.
그 만큼 그는 경쟁력이 있는 인물이다.
정치적 판단력도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5.31 지방선거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정대철 전 의원의 복심으로 통하는 정동일 구청장을 한나라당으로 끌어들여 지지기반을 넓힌 사람이 바로 그다.
그가 공천을 준 정동일 구청장에 대한 지역민들의 평판도 좋다.
그 좋은 평판이 오는 4.9 총선에서 한나라당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은 불 보듯 빤하다.
따라서 박 의원이 공천을 받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로 여겨졌었다.
그런데 이른바 ‘이심(李心, 이명박 마음)’을 앞세워 연일 그를 흔들어 대는 사람들이 있다.
그것도 아주 치졸한 방식으로 은근히 그의 전력을 문제 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이심’은 사실이 아니다.
다만 이 당선자 측근들이 ‘이심’을 언급하면서 자신의 욕심을 채우려 할 뿐이다.
사실 ‘이심’이라면 박성범 의원도 누구 못지않게 통하는 사람이다.
이 당선자가 서울시장 재임 당시 그는 한나라당 서울시당 위원장이었다.
당시 시당은 서울시와 당정협의회를 통해 이명박 당시 시장의 방침에 적극 협력했다는 것은 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심’을 운운하면서 박성범 의원 흔들기에 나서는 사람의 말은 믿을 수 없는 것이다.
또 그들이 지적하는 ‘결격사유’라는 것도 우습다.
한나라당은 본래 기소만 되더라도 당원권 정지하는 규정 있다.
당원권 정지는 당원권한 제한하는 것이니 공천신청도 못하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박성범 의원의 벌금형은 탈당 이후 받은 것으로 한나라당 당헌당규 적용대상이 아니다.
문제를 삼을 거 같았으면, 복당 시 문제를 삼았어야 하는 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당연히 박 의원의 벌금형이 문제되지 않는다는 당 지도부의 판단 때문일 것이다.
실제 박 의원은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구청장 후보 공천청탁과 함께 금품을 받은 혐의(배임수재 및 선거법 위반)로 기소됐으나, 오히려 박 의원에게 금품을 제공했다는 모씨가 “부정한 방법으로 공천을 받기 위해 거액의 금품을 제공했고 허위진술로 인해 사건을 왜곡하는 등 죄질이 나쁘다”는 이유로 징역형이 선고된 바 있다.
반면 박 의원은 선거법에 대해 무죄판결을 받았고, 배임수죄에 혐의로 인해 벌금형을 받았을 뿐이다.
그것도 김덕룡 의원 사건과 비교할 때, 박 의원은 자신의 부인에게 떠넘기지 않고 본인이 책임지는 의식을 보여 오히려 지역주민들로부터 박수를 받기도 했으니, 이제 와서 그 점을 문제 삼는 것은 결코 당당한 모습이 아니다.
특히 박 의원 사건에 대해서는 이미 당내에서 ‘음모론’이 파다하게 퍼졌던 사건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그렇다.
한나라당은 “자칫 잘못하면 공천 후유증으로 인해 후폭풍 맞아 어려움 겪을 수 있다”는 충고를 기억해 주기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