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국 해법은 탕평책 뿐

이정현 한나라당 국회의원

시민일보

| 2008-06-16 20:16:30

제목 : 단상

난국 해법은 탕평책 뿐

이정현 한나라당 국회의원

여호수아는 가나안 땅을 동반자들인 열두지파에게 먼저 분배했다.

자신은 맨 나중에 그것도 산간 지역을 원해 백성으로부터 얻었다.

워싱톤, 제퍼슨, 링컨, 루스벨트, 대처, 메르켈과 이명박 대통령은 두가지 공통점과 한가지 차이점이 있다.

공통점은 일곱명 모두가 “기도하는 사람”이고 나라가 중대한 기로에 놓여 있을 때 집권했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여섯명은 상대진영의 유능한 인사들을 과감하게 발탁한 점이다.

그 결과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했고 결국 성공했다. 이것이 다른 점이다.

출범 100일 된 대통령의 지지도가 10%대라는 것은 심각하고 황당하다.

열명이 모여서 정치 이야기를 하면 그 중 여덟명이 대통령을 비판하는 형국이다.

나머지 두 명은 분위기에 눌려서 아무 대변도 못한다고 봐야 한다.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안 믿는 수치다. 대통령은 지금 신뢰의 위기에 빠져 있다.

근본적으로 인식과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대통령 임기 1825일 중 100일은 마라톤 42.195킬로미터 중 2.3킬로미터와 같다.

발에 쥐가 났어도 치료하고 다시 뛸 수 있는 넉넉한 시간이 남아 있다.

이 대통령은 서울시장 초반 시절 히딩크 사진 사건, 태풍 때 부인동창회 참석 사건, 장애인 리프트 추락사건, 덕수궁 내 미국 대사관 건립 논란, 세종문화회관 농성, 혼잡 통행료 징수 논란, 청계천 복원 논란 등으로 지지율은 바닥, 불쾌지수는 최악인 86이었다.

재선거 우려까지 있었지만 극복하고 오히려 청계천 복원 등 적지 않은 일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추락하는 이 대통령에게는 날개가 없다.

언론과 야당까지도 봐준다는 허니문 기간임에도 100일 된 내각과 청와대비서진의 일괄 사퇴서를 받아야 했다. 가히 불가사의한 일이다. 본인도 꿈이었으면 할 것이다.

이 사태의 해법은 단 한가지다. 오직 탕평책뿐이다.

지도자가 국민을 화합시키고 단합시킬 때는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 냈다.

지도자들이 편당, 편애, 편파, 편중, 편집, 편 가르기 할 때마다 큰 위기를 맞았다.

대통령의 경쟁자는 없다. 그러나 대통령이 승부를 걸려고 하면 다 경쟁자가 된다.

대통령이 탕평책을 펴면 다 협력자고 다 동반자가 된다.

國體와 身體는 같다는 말이 있다.

간이 아프고 콩팥이 아프면 신체의 그 부분만 아프겠는가? 온 몸이 아프게 된다.

국정수행에 있어 소외와 비정상은 아무리 소소해도 국가와 국민은 아프게 마련이다.

같은 목표를 두고 함께 경쟁했던 것만으로도 패자는 배려의 대상이다.

그런데 패자의 깨끗한 승복에도 승자측은 그들을 배제했다.

특정지역 출신 중앙 공직자들은 숨죽이고 있다.

구정권 참여자들 중에는 출중한 인재들이 있다. 하루아침에 쌓은 실력들이 아니다.

특정 부위만 계속 쓰면 다른 신체는 결국 아프게 된다.

의리만 챙기면 결국 나머지의 불만이 폭발하고 국체가 심각하게 아프게 된다.

대통합도 큰 평화도 없게 된다. 나라는 혼란과 갈등과 분열에 휩싸이기 마련이다.

나는 25년간 한나라당을 지켜 온 진짜 주인이다. 한나라당의 명예가 내 명예고 한나라당의 운명이 내 운명이며 나라를 평안하게 하고 국민을 잘살게 해야 하는 한나라당의 책임이 곧 내 책임인 사람이다.

지금 대통령께서는 현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지혜를 모으고 있다.

나는 이 난국 극복에 간섭하고 싶다. 단 한 가지만 주문하고자 한다. 탕평책을 쓰시라는 것이다.

인사든, 정책이든, 정치든 의리보다 공정을, 편중 보다 대통합을 취해달라는 것이다.

덧붙여 감히 우리 한나라당 정권의 모든 인사권자에게 공개청탁을 하고자 한다. 대통령께도, 청와대 인사비서관, 장관, 공기업 사장, 지자체장에게도 부탁드린다.

특정지역 사람들이 또다시 “우리지역출신 대통령 갖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며 90%대의 결속을 다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특히 인사 탕평책 펴주길 바란다.

나는 이를 감시 할 것이다. 사례가 있을 때마다 현장조사를 나가고 공개 할 것이다.

고의적인 인사차별은 역적행위다. 그 폐해와 반발이 얼마나 컸었는지는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요즈음 일부 지역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읽히는 공통 된 분위기는 ‘지역발전과 인사에 있어서의 차별에 대한
걱정과 근심“이다.

어느 공기업에서 기획 상무이사를 뽑는데 지원자 중 10년이상 그 회사에 기획업무를 보면서 톱클라스에 오른 사람은 자기뿐임에도 출신지 때문에 불안하다는 것이다.

최근 어느 부처에 실무 국장 세 명이 공교롭게 특정지역 출신이었다고 한다.

장관은 딱 꼬집어 바로 그 이유로 한 명을 한직으로 보낸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행정고시를 패스하고 국내외 노동 행정기관에서 요직을 두루 거친 노동법 전문가가 해당 분야 기관장 공모에 선뜻 나서지 못한 것은 자신의 출신지 때문이란다.

인사권자의 고유 권한에 대해 제3자가 왈가왈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러나 탕평책은 큰 개혁이고 통 큰 화합책이며 국민의 역량을 한데 모을 유일한 비책이다.

그래서 그 원칙을 지켜 줄 것을 간곡하게 요청하는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