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참사… 탈많은 ‘뉴타운사업’ 역사의 뒤안길로?

시민일보

| 2009-01-21 19:16:48

吳시장 “세입자 대책 검토… 재개발 문제점 점검, 개선책도 마련할것”
원주민 “누구를 위한 뉴타운이냐… 즉각 중단하고 전면 재검토 하라”



청계천 복원과 함께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최대 치적으로 꼽히던 뉴타운사업이 끝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뉴타운 사업 등 재개발과 관련해 용산철거민 참사가 발생하자 “서울시가 법질서 유지와 철거민 생활안정 모두를 고려한 균형을 잡아야 한다”며 “재개발의 문제점을 점검, 종합개선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이날 25개 구청과 합동으로 개최한 창의행정추진회의에서 “자치구가 겪은 시행착오 등을 반영한 근본적인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오 시장은 “세입자 대책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와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며 “국회, 국토부와 긴밀히 협의해 관련 법령을 개정하는 등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는 사업에 착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자문위원회가 전날 시청 서소문 별관에서 개최하려던 공청회가 뉴타운 및 재개발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공청회장에 모인 재개발 지역 주민 등 500여명은 이날 “뉴타운 즉각 중단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적극 반발했다.

이로 인해 공청회 개회가 30여 분간 지연됐고, 개회된 뒤에도 주민들의 반발농성이 계속되자 자문위는 공청회를 전격 취소했다.

앞서 자문위는 뉴타운과 재개발, 재건축 등 각종 정비사업을 한 묶음 형태로 추진하는 것을 뼈대로 한 주거환경개선정책안을 지난 15일 발표했다.

그러나 이날 공청회가 무산됨에 따라 자문위의 확정된 의견을 토대로 뉴타운 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보완책을 마련하려던 서울시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한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전국뉴타운 재개발반대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연합(비대위) 회원 100여명도 이날 공청회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는 뉴타운을 중단하고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뉴타운은 조합원들에게 헌집 대신 새집을 주는 것이 아니라 헌집마저 뺏고 멀리 쫓아 버리는 격”이라며 “자문위의 개선안은 뉴타운 주민들이 다 쫓겨나고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은 후의 사후약방문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한 때 ‘부동산 로또’라고까지 불리던 뉴타운의 장밋빛 환상이 깨지고 있다.

살던 주민들이 재정착하기 위해서는 거액의 돈을 내야 하기 때문인데, 대부분의 주민들이 돈이 없어 정든 곳을 떠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당지역 원주민들은 “누구를 위한 뉴타운이냐”며 강력반발하고 있다.

실제 장위동 뉴타운 예정지 주민들이 반대 운동에 나섰다.

최신식 아파트에서 살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가 깨졌기 때문이다.

한 주민은 “이 구역은 고지대 산동네라 아파트 대신 4층짜리 빌라를 짓게 됐다. 용적률이 203%에 불과해 가구당 부담금이 크게 증가했다”며 “158㎡ 집을 가지고 있다면 1억6000만원을 추가로 내야만 105㎡ 아파트로 갈아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원하든 원치 않든 엄청난 부담금을 내지 않으면 마을을 떠나야 하는 실정”이라며 “저소득, 노년층 원주민에게는 감당 못 할 돈인데 어쩌겠느냐”고 하소연했다.

실제 입주를 마친 ‘길음 뉴타운’의 경우 원주민 가운데 다시 정착한 비율이 17%에 그쳤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